회사 소개

LS ELECTRIC㈜(이하 LS ELECTRIC)는 1974년 창립 이래 전력 및 자동화 분야의 산업을 선도하며, 관련 분야 국내 1위의 기업으로서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Futuring Smart Energy(스마트 에너지의 미래를 만들어 갑니다)’라는 미션 하에 전력, 자동화 사업에 있어 세계 최고 품질과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전력, 자동화 기술 융합의 산물인 스마트 에너지 분야에서도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환경 변화 및 전망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가속화에 따라 전통적인 제조업체들도 변화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기업 전체가 데이터 기반의 고객 중심 조직인 Digital Enterprise로 변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조직은 CT(Culture Transformation), 더 나아가 PT(People Transformation)가 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것을 수용하는 열린 자세와 고객 중심의 Design Thinking, 빠르게 판단하고 이를 추진하는 Agility를 갖고 고객 가치 기반 전략에 대한 진정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작년 7월 정부에서 국가 발전전략으로 발표한 한국판 뉴딜을 관심 있게 지켜보며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을 역점 분야로 선정한 그린 뉴딜과 관련하여 LS ELECTRIC은 전력 분야 국내 1위 업체로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합니다. 그린 뉴딜의 성공을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도 계통에 접속하지 못한 신재생에너지원들이 많은 실정입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확산 대응뿐만 아니라 분산형 전력망, AC/DC 혼합 전력망,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 확대, 양방향 조류 등의 전력계통 환경 변화에 따라 친환경 신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2021년 연구개발 목표와 추진 전략

LS ELECTRIC에서는 글로벌 사업 확대와 디지털 사업 활성화,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목표로 2021년 전략을 전개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전략도 이에 발맞추어 사업경쟁력 강화 및 디지털 역량 강화, 친환경 및 미래 시장 선도를 위한 제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해외 시장 공략 다변화를 위한 제품개발 및 LVDC Global Top 달성을 위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며, 고객의 관점에 맞춘 영업 활동 지원 및 고객 대응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스마트 LV/MV 솔루션 개발과 더불어 진단시스템 고도화 및 자산관리 솔루션 기반을 구축하여 스마트한 융복합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Digital Product의 경쟁력 강화 및 시장 확대를 위한 Service SW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Core Platform을 기반으로 자사 제품 운영 데이터와 자사 보유 데이터의 자산/공용화를 통해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입니다.

국내 친환경 및 미래 시장을 선도하고 기후변화를 억제하기 위한 트렌드에 발맞춰 온실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g3 친환경 GIS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실증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력전자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전력용 반도체 차단기 제품화 및 배전급 전력용 반도체 변압기 개발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디지털 혁신 전략

LS ELECTRIC 연구개발본부는 전사 DT 추진 리딩 조직으로서 2015년부터 중장기 계획을 가지고 추진해오고 있는 선진 개발체계 구현 활동을 내재화 하고, R&D 프로세스 전반의 데이터 가시성/연계성을 강화하여 전사적 거버넌스 확보 및 R&D 운영체계 고도화를 목적으로 DDRM(Data Driven R&D Management)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R&D 과제 계획 단계에서는 사업전략, 상품전략 측면에서 현 수준 및 선진사 Gap분석을 통해 과제 우선순위 및 필요성을 정리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기술 확보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1) 제품별 경쟁력 강화 방안 수립, 2) 기술지도시스템과, 3) RPA를 활용한 기술트렌드 파악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R&D 제품 설계 단계에서는 SPG별 최적화된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가상검증체계, 가상제품개발 구현을 통해 R&D Speed-up 및 디지털 트윈을 실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4) DT 기반 개발 체계, 5) Agile Process 검토/적용, 6) 차세대 과제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활동을 전개 중입니다.

성과 모니터링 단계에서는 R&D 과제와 사업성과 연계 관리를 위해 7) 과제 실적 추적성 강화 활동을 전개 중입니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