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과학

지구를 살리는 착한 소재, 
친환경 플라스틱

 


코로나19로 배달산업이 성장하면서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도 급증했다. 2020년 이후 폐기물 단가가 떨어지면서 ‘쓰레기 대란’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 KBS


 

어제의 히어로가 오늘의 빌런

배달 산업은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의 상품과 음식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내용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소재 포장재가 필요하다. 플라스틱은 가장 이상적인 소재다. 젖지 않고, 내구성도 적당하고, 산과 염기에도 강해서 음식물처럼 변질되기 쉬운 상품을 포장하는 데 최적의 조건을 두루 갖췄다.

무엇보다도 플라스틱은 잘 썩지 않는다.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수백 년이 지나도록 원형 그대로 유지된다.

이처럼 장점이 많은 플라스틱이지만 그 장점 때문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킨다. 플라스틱은 썩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서 버려지는 플라스틱은 가급적 재활용해야 한다. 그런데 이 재활용이 완벽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조사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에서 생산된 플라스틱 83억 톤 중 78%인 63억 톤이 폐기물로 발생했지만 단 9%만 재활용됐다. 버려진 플라스틱의 79%는 매립되거나 투기됐다.

이렇게 버려진 플라스틱은 강과 바다를 떠돌면서 해양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협을 준다. 바다를 떠도는 비닐이나 플라스틱 조각을 먹이로 착각한 해양생물들이 삼켜버리기 때문이다. 플라스틱을 삼킨 바다생물은 음식물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해 굶어 죽고 만다.

부피가 큰 플라스틱 쓰레기도 문제지만 최근 가장 큰 문제로 떠오른 것은 미세플라스틱이다. 미세먼지처럼 미세플라스틱 역시 최근에야 주목받기 시작해서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학계에서 통용되는 기준은 대체로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을 말한다. 미세플라스틱이 주목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다만 플라스틱이 물속의 유기오염물질을 표면에 흡착하므로, 미세플라스틱이 유기오염물질과 결합한 채 체내에 들어가면 다양한 중독 현상을 일으킨다고 추측할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의 미세한 입자 자체가 생물 조직에 물리적인 손상을 일으켜 내장벽에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더 큰 문제는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에 얼마나 존재할지, 얼마나 더 늘어날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최근에야 연구가 시작돼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 전 세계 강과 바다에는 이미 엄청난 양의 플라스틱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기된 플라스틱 대부분이 분해되지 않은 채 미세플라스틱으로 잘게 쪼개지니 연간 수억 톤의 미세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입된다고 볼 수 있다. 2014년 추산으로 전 세계 바다에 존재하는 모든 플라스틱의 중량이 모든 바다생물 중량의 20% 정도라고 하는데, 2050년이면 1:1의 비율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이래서는 미세플라스틱의 실제 독성이 낮다고 하더라도 그 엄청난 양 때문에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무언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글/ 김택원
과학칼럼니스트

과학사를 전공하고 동아사이언스의 기자, 편집자로 활동했다. 현재는 동아사이언스의 고경력 과학기자들이 의기투합해 독립한 동아에스앤씨의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