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은 선택이 아닌 필수 경영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기술이 급진적 발전으로 새로운 조직과 경영전략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미래환경 중심의 사업전략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에게도 예외가 아니다. 전통적인 엔터테인먼트 유통시장이 넷플렉스와 스포티파이와 같은 OTT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고, 증강현실과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유명한 연예인이나 콘텐츠를 만들어 시장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상품을 판매하는 기존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사업전략을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 전략으로 전환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2017년부터 SM엔터테인먼트는 미국 딥러닝 기반 가상 인물을 만드는 인공지능 기업인 오벤(OBEN)과 공동투자를 통해 홍콩에 ‘AI 스타스’를 설립하고 인공지능 아티스트를 만드는 일에 집중해 왔다. YG 엔터테인먼트는 ‘YG 플러스’라는 자회사로 만들어 네이버의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을 활성화하고, 음원과 아티스트 등 지적재산권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마케팅 효과 극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하이브(HYBE)로 사명을 변경하고 본격적인 ‘레이블’, ‘솔루션’,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으로의 변신을 알렸다. 이제 엔터테인먼트 기업은 더 이상 연예인을 육성하고, 콘텐츠를 개발하는 기업을 넘어 솔루션과 플랫폼을 기반한 서비스 기업으로 변화되는 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이렇듯 새로운 변화의 시기를 맞이한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인공지능 기술 기반 비즈니스 혁신과 신사업 창출은 크게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 셀럽봇과 팬텀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플랫폼 사업의 확장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 디지털 휴먼을 기반한 디지털 연예인 육성 전략이 강화되고 있음에 주목할 수 있다. 셋째, 첨단 기술을 기반한 가상공연의 진화와 인공지능 창작가 활동에 의한 콘텐츠 생산 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오늘날 기업은 공급과 수요, 생산과 마케팅이 아닌,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과 콘텐츠를 고민해야 하는 시대에 놓여있다. IT 기업과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협력전략들이 강화되는 현상에서 알 수 있듯, 기술은 콘텐츠를 필요로 하며, 콘텐츠는 기술을 기반할 때 빛을 발한다.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 전략을 고민하는 많은 기업들에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변화는 기술과 콘텐츠를 어떻게 새롭게 전략화 해야할지에 대한 또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