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의 제1원칙은 이윤이고 이를 위해선 ‘원가 절감’이 필수다. 이를 가능케한 기술이 ‘로켓 재활용’이다. 우주 발사체를 한 번 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10억 달러(1조 1,000억 원). 전체 발사비의 90%를 차지한다. 전문가들은 로켓 재활용 기술이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면 수년 내 우주왕복선 궤도 운송비가 킬로그램(kg)당 500달러(약 55만 원) 이하로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금은 kg당 2만 달러(2,200만 원) 수준이다.
우주 쓰레기도 돈 된다
송중기와 김태리가 주연을 맡은 SF(공상과학)영화 ‘승리호’에선 우리에게 낯선 우주쓰레기 청소선이 등장한다. 우주쓰레기는 우주에 남겨진 위성 잔해, 수명이 끝난 인공위성, 로켓 파편 등을 일컫는다. 승리호는 이런 쓰레기를 수거해 거대 하치위성으로 가져가는 일로 돈을 번다. 이런 특이한 설정은 영화에만 국한된 일이 아니다. 실제로 지난 3월 22일 지구 궤도에 떠 있는 우주 쓰레기를 처리할 청소부 위성이 처음 발사됐다. 아스트로스케일사의 ‘엘사-d’란 이름의 청소선이다. 엘사-d는 자석 접안 시스템을 통해 쓰레기 위성을 추적·포획하도록 설계됐다.
현재 우주를 떠도는 1mm 이상 우주 쓰레기는 약 1억 개 이상이다. 이 때문에 우주 쓰레기 청소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삼으려는 기업들도 하나둘씩 등장하고 있다. 일본의 우주 스타트업 아스트로스케일은 자석을 이용해 우주 쓰레기를 치우는 기술로 1억 9,100만 달러(약 2,110억 원)의 투자를 받았다. 스위스 클리어스페이스는 4개의 로봇팔을 이용해 100kg급 쓰레기를 움켜쥔 뒤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마찰열로 소각하는 방식의 우주쓰레기 청소선을 오는 2025년 발사할 예정이다.
다음 휴가는 ‘우주’, 투자 열기도 뜨거워…
우주 인터넷·청소뿐 아니라 광물 채굴, 지형·환경 정보 획득 등도 우주 비즈니스모델(BM)의 한 축으로 관심받는다. 특히, 빠른 투자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우주여행’은 가능성이 가장 커 보이는 사업에 해당한다. 블루오리진은 약 3억 원에 지구 대기 끝인 카르만 선까지 다녀오는 여행상품을 내놨다. 올해 첫 여행에 나설 계획이다. 스페이스X는 2023년을 목표로 ‘달 여행패키지’를 내놨다. 버진갤럭틱은 올해 상공 100㎞ 정도까지 올라가는 우주 관광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