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통신 분류

양자 암호통신은 양자 기술로 생성•분배한 암호키를 현대 암호체계에 활용하는 기술로서, 여러 양자 기술 중 가장 먼저 상용화 단계에 도달하였다. 반면 양자 인터넷은 양자 컴퓨터나 양자 센서와 같은 양자 디바이스間을 양자 상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기술로서, 현재 디지털 인터넷보다 더 높은 수준의 보안, 연산, 정교함을 가지는 인터넷이다.


양자 암호통신 분야의 국내외 기술개발 및 산업화 현황

양자 암호통신 분야는 상대적으로 원천기술 개발은 늦었으나, 국제표준화 주도 및 지난 ‘20년~’22년間 정부 양자암호 인프라 구축 시범사업으로 제품화 및 서비스 상용화에는 앞서 있다.


양자 인터넷 분야의 글로벌 기술개발 현황

글로벌 기술 리딩 국가도 관련 기술개발 본격화가 그리 오래되지 않아, 한국과의 기술 격차가 큰 상황이 아니다. 따라서 적절한 전략과 자원 집중이 함께 할 경우, 양자 인터넷 분야에서도 양자 암호통신과 같은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산업적 관점에서 우리의 전략

기술 표준화 선점, 디지털 역량 활용, 그리고 응용 서비스 중심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핵심 표준 기술 선점을 통한 선제적 산업화 전략을 우선 고려할 수 있다. 양자 통신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양자 상태의 전달을 위해서 그리고 전달되는 정보의 이용을 위해서 디지털 통신기술의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한국의 기술개발 성과 (양자 통신 표준화)와 역량 (디지털 강국)은 양자 통신 산업화 성공을 담보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기술개발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격차 축소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산업화 즉 양자 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응용 서비스 개발에 집중해야 할 시기이다. 디지털 통신에서의 한국의 성공은, 상기 전략에 대한 실행이, 적기에 그리고 충실히 수행될 경우 양자 통신에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