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빠르게 늙고 있다.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성 질환의 증가는 의료비 부담 등 사회적 지출의 증가를 가져오고, 이에 대한 해법으로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를 위한 민관 전략 및 의지가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2년 후인 2025년에는 노인 인구 비중이 20.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돼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화에 따른 퇴행성 및 노인성 질환이 늘어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사실 노인들의 건강상태는 이미 ‘빨간불’이 켜져 있다. 노인들의 40%는 “스스로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만성질병이 없는 건강노인은 전체의 10%에 불과했다. 51%의 노인들은 세 가지 이상 복합질환을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 부동의 노인 빈곤율 1등이다. 노인 4명 가운데 1명은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이 있지만 자녀들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혼자 살고 있다. 노인 부부 끼리만 살고 있는 비율도 절반가량에 이른다.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자의 수는 계속 늘고 있다. 대표적으로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퇴행성 척추·관절 질환 등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초고령사회 대응 방안으로 노인통합관리 실행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건강노화 10년이란 목표 하에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핵심과제로 규정한 것이다. 건강노화(healthy aging)는 질병극복을 넘어 신체·정신·사회 기능을 극대화해 나이가 들더라도 자신의 삶의 터전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최대한 유지토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민간에서도 고령층의 돌봄과 건강 유지를 위한 헬스케어 분야의 기술 개발이 한창이다. 민간 주도의 제론테크놀로지(Gerontechnology)’가 대표적이다. 이것은 노년학과 기술의 융합을 말한다. 고령자의 삶의 질 개선을 돕는 기술 개발과 서비스 디자인 등을 총합하는 개념으로 풀이된다.
정부도 건강노화 관점 하에 여러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110대 국정과제에 ‘100세 시대 일자리·건강·돌봄 체계 강화’를 포함시킨 바 있다. 고령친화산업과 연계해 돌봄로봇 등 복지기술 연구개발 강화 및 복지관과 요양시설 등을 리빙랩으로 지정, 생활밀착형 서비스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 3월 28일 ‘윤석열 정부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과제 및 추진 방향’을 공개했는데, 여기에는 고령친화기술(Age-tech)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사각지대 없는 돌봄 서비스 제공과 고령친화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었다. 단기적으로는 고령친화산업·돌봄로봇·보조기기·스마트서비스 등 분야별 기술 개발을, 오는 2025년부터 2031년까지 노인‧장애인 재활‧자립‧돌봄 연구개발 R&D 사업도 추진하겠다는 것.
건강노화를 위한 각종 기술 개발 및 제도를 통한 인프라 구축이 하드웨어라면, 소프트웨어로써 작용할 요소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앞선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 고령층에 대한 정서적 지지 확대는 인간간의 인식적 관계성 이상의 실제적인 효과성, 즉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인 치매 유병률과의 관련을 나타냈다.
우리는 초고령사회 진입까지 불과 2년밖에 남겨 놓고 있지 못하다. 이런 상황에서 건강 노화를 위한 ‘안팎’의 해법을 마련하는 것과 그러한 요소들이 실효성을 발휘하려면 민간이나 정부, 어느 한쪽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