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으로
몸값 치솟는 4차 산업 기술들
코로나19 난세에 치료·방역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의료진과 함께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도 맹활약을 펼치고 있다. 빅데이터, AI는 코로나19를 치료할 약물(약물 재창출)을 찾거나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DNA) 구조를 분석해 신속 진단기기를 개발한다. 이동통신망은 확진 환자 동선을 신속히 찾는 조력자로 접촉자 최소화에 큰 힘을 보탠다. 로봇은 사람 대신 체온을 재고 광범위한 지역에 방역 활동도 펼치는 등 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이런 ‘ICT 코벤져스(코로나19와 어벤져스 합성어)’의 영웅적 면면을 들여다본다.
그림 1. 기어VR를 써보는 어르신
출처: 삼성전자
VR·AR, 비대면 사회·문화의
최고 기대주로 급부상
VR·AR(가상·증강현실) 등의 실감형 미디어 기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언택트) 사회·문화가 확대되면서 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기술 중에 하나다. 특히 의료시장의 ‘러브콜’이 잇따른다.
먼저 의료 서비스·재활 치료 분야를 보면 부산대병원은 이동통신사 KT와 의료 전문 스타트업 ‘테크빌리지’와 함께 VR 기반 게임형 원격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은 뇌 질환 중증 환자가 회복해 가는 과정에서 겪게 될 팔·손 부위 마비 증상을 개선, 환자의 일상 회복을 돕는다.
수술 현장에도 VR 기술이 접목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조환성 교수팀은 최근 AR 기술로 골종양 수술에 성공했다. 조 교수팀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과 홍재성 교수팀과 함께 환자 다리에 발병한 암의 정확한 위치 및 크기를 태블릿 PC에 AR 기술로 실시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수술에 도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등 영상진단 이미지를 통해 확보한 종양의 위치, 크기를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종양의 위치 정보가 태블릿 PC에 표시된다. 홍 교수는 “불필요한 절제를 최소화하면서 종양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 막는 통신기술
코로나19 팬데믹이 지속된 가운데 전 세계가 ‘K방역’에 주목한다. 세계은행(WB)과 아시아 개발은행(AD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의 주요 국제기구에서 한국의 방역 노하우·기술을 공유해 달라는 요청이 쇄도한다.
애초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의 확진자 동선 파악은 여러 기관을 거치는 방식으로 수일이 걸렸다. 예컨대 질본이 A씨를 확진자로 판별하면 경찰청에 A씨의 동선 확인을 요청하고 경찰청은 이동통신사에 A씨 동선 자료를 요구한다. 이런 과정을 단순화한 것이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연계 방식으로 자동화해 수일이 걸리던 처리 과정을 10분 내외로 줄였다”고 전했다. 신용카드 사용 내역도 함께 제공돼 확진자 감염 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국의 ICT 방역 시스템은 앞으로 글로벌 전염병 대응 공조 시스템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KT가 국제사회에 제안했던 GEPP(감염병 확산방지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GEPP는 휴대전화 로밍 데이터와 기지국 이동정보를 검역에 활용해 전염병 확산을 막자는 게 골자다.
질본은 KT·SK텔레콤·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와 손잡고 이동통신 로밍 및 기지국 정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방역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개인정보 이용에 동의한 사람에게만 감염병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모든 이용자의 방문정보를 파악해 서비스를 하게 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질본은 발생국 경유자 검역률을 2017년 36.5%에서 지난해 90.4%로 끌어올렸다.
글/류준영 기자
머니투데이 정보미디어과학부
카이스트(KAIST) 과학저널리즘대학원 석사, 한양대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지디넷코리아, 이데일리 등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머니투데이에서 과학 분야를 취재하고 있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