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철강업계,
수소시대 열다
우리나라에서 탄소배출이 많은 대표적인 산업군은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이 있으며 향후 탄소중립이라는 사회적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철강산업은 새로운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철강산업의 국내외 대표회사들은 자사의 친환경 비전과 전략을 속속 밝히고 있으며 포스코도 지난해 12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였다.
철강산업의 철강제품 수명 주기로 본 탄소저감 전략
일반적으로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이슈는 철강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부담 물질인 이산화탄소의 양을 어떻게 감축시키는가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지만, 철강제품은 적어도 수십 년에 걸쳐 생산-사용-재활용의 전주기를 거치므로, 친환경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주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친환경 철강생산을 위한 기술발전 전략
철강산업은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철강 생산단계를 어떻게 변화시켜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해오고 있으며 탄소저감에 대해 중기적·장기적 대안을 모색 중이다. 현재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탄소에 의존하고 있지만, 중기적으로는 주 에너지원 탄소와 부 에너지원 수소의 Hybrid 적용, 장기적으로는 주 에너지원을 탄소에서 수소로 완전한 전환을 구상하고 있다.
수소경제 하의 신사업 진출
탄소중립이 대부분 철강사들의 현안이라서 수소 가치사슬과 관련된 신사업을 구상하고 추진하는 철강사는 많지는 않다. 수소관련 소재사업은 수소 저장용기용 소재, 액화수소 화물창 소재, 수소 수송용 배관 소재, 연료 전지 분리판 소재 등 수소 가치사슬별로 필요한 신소재가 대상이다. 일본 Nippon Steel, JFE Steel은 수소 저장/운송용 소재, 포스코는 태양광발전 하부구조물 소재로 활용되는 고내식 합금도금강판(PosMAC), 연료전지 금속분리판(Poss470FC) 등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수소 가치사슬에 필요한 개별 요소기술기반 사업 중 수전해 기술은 현재 티센크룹(Thyssenkrupp) 등에서 사업화하였으며, 향후 암모니아 및 유기화합물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은 기술판매나 사업화가 가능해 보인다.
글/정기대 수석연구원
포스코경영연구원
서강대 경영학과와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SUNY at Buffalo)에서 MBA, KAIST에서 기술경영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IBM을 거쳐 포스코경영연구원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주요 연구분야는 기술경영이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