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친환경 시대
미세조류로 만드는 바이오디젤 연료
온실가스 배출로 발생하는 기후변화는 미래의 재난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문제이다. 유엔 산하 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이 펴낸 ‘2000~2019년 세계 재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전 세계에서 7,348건의 자연재해가 발생했다. 보고서는 2019년 기준 세계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1℃로 치솟으면서 폭염과 가뭄, 홍수, 혹한, 태풍, 산불 같은 극한적인 기상 현상이 더욱 자주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했다. 재해 통계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데 실패한 것이 인류의 고통을 가중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리고 그 고통은 쉽게 끝날 것 같지 않다.
미세조류, 가장 친환경적인 에너지
그렇다고 과거의 생활 방식으로는 돌아갈 수는 없다. 에너지가 없으면 문명도 없기 때문이다. 문제의 핵심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에너지를 사용하느냐에 있다. 그중에서 미래를 바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것이 생물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이다. 이를 ‘바이오매스’라 하는데, 바이오매스는 원래 일정 공간 안에 있는 생물체의 총량을 뜻하는 용어이지만 오늘날에는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생물체를 가리킨다.
이 바이오매스에서 에탄올이나 메탄올, 바이오디젤 등을 생산할 수 있는데 지구에서 1년간 생산되는 바이오매스는 석유의 전체 매장량과 비슷해 고갈될 염려가 없다. 다만 식물이나 동물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오히려 생태계 파괴를 부추기거나 인간의 식량 생산을 위협할 수 있다는 난점이 있다.
이런 우려를 완벽히 제거하는 것이 미세조류이다.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며 산소를 만드는 단세포 생물로 클로렐라 같은 녹조류가 대표적 예이다. 왜 미세조류가 바이오매스 에너지 생산에 유리할까? 먼저 미세조류는 콩, 옥수수, 사탕수수 같은 다른 식물 기반 바이오매스 원료보다 단위 면적당 에너지 생산량이 최대 100배가량 높다. 또한 비식량 바이오매스로서 식용 작물 재배를 방해하지 않고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더욱 큰 장점은 이산화탄소를 먹이로 자라므로 대기 내 탄소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글/권오현
동아에스앤씨 에디터
과학기술계를 위한 콘텐츠 및 홍보 서비스를 동아에스앤씨에서 다양한 과학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고 있다. 대중과학웹진 <KISTI의 과학향기>,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뉴스레터 <KINAC 뉴스레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매거진 <KRIBB focus>, 한국과학기술원 교지 <KAIST 비전> 등을 만들었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