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모바일 마케팅 성공사례

 



 

모바일 웹·앱을 활용한
마케팅 캠페인 현황

간편결제 시장의 성장과 언택트 소비 트렌드에 힘입어 연일 기록을 경신하는 ‘모바일 거래액 증가’가 쇼핑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다. 이러한 모바일 마케팅 캠페인의 성장 배경에는 ‘초개인화 마케팅의 실현’이 있다.
 

이러한 초개인화 마케팅은 중고나라를 위협하는 당근마켓, 뱅크월렛을 이미 뛰어넘은 토스 등 런칭 초기에 막대한 마케팅 예산 투입이 어려운 후발주자, 스타트업, 제조업체 등에 기회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B2B 제조업체의
모바일 웹·앱 마케팅 성공사례

기업 간 거래(B2B)가 핵심인 다수의 제조업체는 한정된 타겟을 만나기 위해 박람회 참여 또는 전화영업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기업 담당자도 결국 개인이다”라는 생각의 전환으로 기업 어학교육 업체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은 ‘B2C2B’였다. 운영 결과, 광고비 투입 대비 성과효율을 측정하는 DB당 단가에서는 60% 이상 절감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 외에도 대기업 유통사에 납품(B2B)하는 것을 주 판로로 하던 제조업에서 B2C 시장을 공략하는 경우도 있다. 닭가슴살 제조업체 R사의 경우에도 약 647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화장품, 생활용품, 건강식품 등 다양한 제조 분야에서 이러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모바일 SNS를 활용한
국내 중소기업 성공사례

첫 번째 기회 요소가 ‘타게팅’이라면, 두 번째 기회 요소는 모바일 미디어 중심의 ‘커머스’이다.
 

페이스북에서 시작된 ‘SNS커머스’, ‘콘텐츠커머스’, ‘비디오커머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유통업계 대기업들까지 이미 관심을 갖고 경쟁에 뛰어든 트렌드로서, 상품의 장점을 짐중적으로 부각시키는 콘텐츠를 입혀 소비자에게 즉각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형태이다.
 



그림1. 제조사와 함께 성장하는 것을 가치로 하여 기획부터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에 성공한 사례


 

시장이 다소 과열되어 있지만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의 플랫폼에서 광고를 접한 직후 즉각적인 구매(결제)까지 이어지는 기능을 계획하거나 이미 제공하고 있어 또 한번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업데이트와 함께 ‘콘텐츠’가 접목된다면, 또 기업이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듣고 싶은 말을 전하는 콘텐츠를 구성한다면 라이브 방송을 통해 소비자와 소통하는 양방향 미디어 커머스 등 다양한 형태로 미디어 커머스는 발전할 것이고 앞으로도 새로운 시장을 확대하고 더 성장할 것이라 조심스레 예측한다.



글/ 김재천 부서장
㈜이엠넷

현재 디지털 마케팅 에이전시 eMnet에서 부서장으로 재직 중이다. 2년 연속 구글 광고 어워드에서 유튜브/검색광고 혁신사례 부문에서 1위를 수상한 바 있으며, 영상/ 배너/검색/SNS 등 디지털 통합 캠페인을 주로 컨설팅하고 있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