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패키징 기판, 핸드폰케이스, 엔진 연료 분사 노즐, 의료용 공구, 정밀 시계 등을 가공하기 위해 재료에 구멍을 뚫거나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초정밀성을 요하는 마이크로 공구가 필요하다. 마이크로 공구는 2010년 이전에는 만들기만 하면 알아서 잘 팔리는 블루오션에 속한 제품이었지만 대략 2010년을 기점으로 중국산 마이크로 공구가 세계시장을 휩쓸게 되면서 가격이나 공급량 면에서 중국을 제외한 마이크로 공구 제조기업들이 밀려나기 시작하였고 급기야 마이크로 공구 시장은 최근 몇 년 전까지 레드오션으로 치닫게 되었다.

㈜네오티스는 거듭된 기술혁신을 통해 2018년과 2021년 두 번이나 장영실상을 받으며 성능의 혁신적 차별화와 대량 양산기술을 개발해 레드오션을 블루오션으로 청정화시켜낸 기업이다.

기존의 세계 최고 제품들에 비해 한 번에 작업할 수 있는 기판 수량이 2배이면서 공구의 수명이 2배에 달하는 총 4배의 성능 차이가 나는 신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뿐만아니라 경쟁제품 가격대비 30%나 제품 단가를 낮추는 양산기술 또한 개발에 성공하여 제품 성능과 양산기술 모두에서 Value는 높이고 Cost는 낮춘 가장 이상적인 혁신을 이루어낸 것이다.

이러한 기술혁신 성공의 배경에는 뚜렷한 목표 설정이라는 핵심 요인이 있었다. 구체적인 제품들을 목표로 설정하는‘R&D 전략 수립’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제품들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요소 기술을 도출하고, 개발실행을 위해 프로젝트의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고 제품 개발을 추진하는 매우 체계적인 과정을 거쳐온 것이 기술혁신 성공의 가장 핵심 요인이라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요소 기술들을 자체 개발하여 내재화하는 것을 성공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양산기술의 획기적인 진보도 측정기술을 자체 개발하여 보유한 덕분이라 할 수 있으며, 카본 나노 코팅막 공정에서 코팅 불량이 발생한 제품들은 실시간 측정검사를 통해 판별되고 이를 회수해 과거에는 폐기할 수밖에 없었는데, 지금은 불량 코팅막을 제거하는 에칭기술을 개발하여 다시 코팅 공정에 투입하므로 코팅 불량률 제로를 달성한 것 등이 있다.

네오티스가 개발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가공용 마이크로 엔드밀은 2018년 15억 원 매출을 시작으로 우수한 성능과 가성비를 고객에게 인정받아 2019년에는 내수 25억 원, 수출 10억 원을 달성하였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내수 50억 원, 수출 20억 원으로 총 7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여 매년 2배 이상의 성장을 하고 있다. 2010년 이후 레드오션으로 치닫던 마이크로 공구 시장에서 마이크로 엔드밀만으로 이뤄낸 성과다. 네오티스의 기술혁신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현재 진행 중이며 향후 블루오션을 항해하는 모습이 기대된다.



글/이장욱 컨설턴트(씨앤아이컨설팅)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