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동일한 제품을 대량생산하던 시대에는 제품의 차별성보다는 제품의 가격만이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였다고 하면, 현재 COVID19 상황과 주요 구매 고객층인 MZ 세대, 시니어 세대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 기능성, 트렌드 선도형 제품이 구매 결정 요소로 작용하며,이러한 제품을 제조, 유통하는 기업들이 식품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식품 산업 트렌드를 예측하고 자사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술 연구, 제품개발을 통해 유가공 식품 기업에서 종합 식품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매일유업의 기술경영 방법론을 소개하고자 한다.
Tech Map을 통한 보유기술, 필요 기술 확보
제품의 요구 기능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을 도출하고, 이를 자사 보유 기술과 필요 기술로 도식화한 것을 Tech Map으로 정의할 수 있다. 마케팅 주도로 제품의 요구 사항을 도출하면, 연구소 주도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을 나열할 수 있으며, 기술에 대한 목표 수준과 개발 기간, 비용까지 정하면 기술 개발 과제로서의 요건을 갖추게 된다.
TRM 과제 선정 및 운영
Tech Map을 통해 필요 기술을 도출하고 기술 확보 방안까지 정의가 되었다면 연구자는 기술 개발 과제의 배경, 필요성, 목표 수준, 개발 일정과 비용에 대한 프로젝트 계획서를 준비한다. 연구소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연구그룹 리더로 구성된 '기술심의위원회'는 프로젝트 심의와 평가를 통해 과제를 선정하고 리소스 투입을 결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러한 기술 개발 과제를 리스트화한 것이 TRM(Technology Road Map)이며, 정기적인 프로젝트 리뷰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PRM과 NPD를 통한 제품개발 계획 수립 및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자사는 매년 차기 연도 사업계획 6개월 전부터 전사 조직이 모여 3개년 제품 개발 계획(3yr PRM(Product Road Map))을 수립하고 있다. 모든 기업과 마찬가지로 자사의 제품별 매출, 손익 추이를 분석하고, 산업분석(고객, 경쟁사, 자사)을 통해 제품 개발 방향성을 점검하여 3개년 제품 출시 일정을 수립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소와 마케팅은 차별화된 아이템을 도출하고, 영업은 유통채널 전략을, 생산은 양산에 필요한 사항을 점검하게 된다. PRM 수립 후 NPD(New Product Development) 프로세스를 통해 제품개발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NPD 프로세스는 5 Stage & Gate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이사로 구성된 NPD 정기 위원회를 매월 개최하여 신제품 개발 과제를 선정하고 수행하고 있다. Ideation(Stage 1) 단계는 타깃 시장과 경쟁 제품 현황, 콘셉트 및 개발 방향을 점검하게 되며, Define(Stage 2) 단계에서는 소비자 콘셉트 조사 결과를 참조하여 제품 콘셉트, 타깃, 개발 및 출시 일정을 확정하고 있다. Development(Stage 3) 단계에서는 소비자 관능 조사 결과와 시험생산/보존검사를 통해 제품 품질에 대한 점검을 하며, Implement(Stage 4)에서는 원가와 판매가를 토대로 한 예상 손익, 영업 유통전략 등을 수립한 후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제품 출시 후 6개월이 경과하면 Post Launch(Stage 5)를 통해 목표 매출 및 손익 달성도, 유통 채널별 입점 현황, 소비자 반응 등을 점검하여 지속 판매를 할지 단산할지를 결정하고 있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