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남다른 발상과 거침없는 도전

 

열두 살에 스스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익혀 게임을 만들었던 일론 머스크는 어린 시절부터 실행력 강한 발명가였다. 남다른 발상과 거침없는 시도는 전자결제를 넘어 전기자동차로, 그리고 우주산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전기자동차 혁신의 아이콘으로 알려진 일론 머스크는 어떻게 혁신을 실행하고 있을까.


 

 

잇단 사업 성공, 멈추지 않은 도전

197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난 일론 머스크는 어린 시절부터 남다른 천재였다. 열두 살에 독학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직접 비디오 게임 코드를 짠 일화는 이미 유명하다. 그는 퀸즈대학을 거쳐 1995년에 스탠퍼드 대학원에 입학하지만 이틀 후에 자퇴하고 그해 창업에 도전한다.

첫 번째 회사였던 집투(ZIP2)는 인터넷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였다. 일론 머스크는 이 사업을 1999년에 컴퓨터 제조기업인 컴팩에 2,200만 달러(약 276억 원)에 매각했다. 다음으로 온라인 금융 서비스 사업에 나선 일론 머스크는 설립 1년 만에 경쟁사를 인수하는 쾌거를 올렸다. 그리고 3년 후, 온라인 쇼핑몰 이베이(eBay)가 페이팔을 15억 달러(약 1조8700억 원)에 인수한다. 이 모든 것이 불과 10년 사이에 일어난 일이었다.

 

아는 길이 아닌 새로운 길로

젊은 나이에 잇달아 사업에 성공하며 큰돈을 벌었지만, 일론 머스크는 거기에 안주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렇게 번 돈을 자본 삼아 새로운 사업에 나섰다. 그는 미래에 자신이 집중할 분야로 인터넷과 청정에너지, 우주산업이라는 매우 다른 세 가지를 꼽았다.

특히 전기자동차를 만드는 테슬라 모터스와 태양광 에너지 기업 솔라시티는 ‘청정에너지’라는 그의 또 다른 목표와 연결되어 있다. 테슬라의 전기자동차는 가솔린을 일부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아니라 전기모터로만 움직이는 100% 전기자동차다.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에서 전기자동차를 내놓으면서 기존 자동차시장에서 고수하던 인식과 방식을 모두 뒤집었다.

 

우주를 향해 쏘아 올린 꿈

상당한 비용이 드는 우주산업은 민간기업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다. 일론 머스크가 우주산업에 뛰어든 초창기에는 허황한 도전이라며 비웃음을 사기도 했다. 하지만 네 번째 로켓 발사를 성공적으로 이끈 그는 우주산업에서도 안정화를 이루어 갔다.

일론 머스크의 우주 계획은 단순히 사업으로 이익을 얻는 데 그치지 않는다. 2004년 언론 인터뷰에서 “달 기지를 건설하고 화성 기지를 건설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던 그는 8만명 규모의 화성 식민지 건설 구상까지 갖고 있다. 지난 5월에는 2022년까지 화성에 무인 우주선을 발사하고, 2024년에는 유인 우주선을 보낸다는 구체적인 목표도 밝혔다. 공상과학 소설에 등장하던 장면을 상상이 아닌 현실로 만들어가고 있다.

 

시도할 때 비로소 가능성이 생겨난다

일론 머스크는 한 강연에서 “기술은 매우 많은 사람이 노력해야 발전한다”라고 말하며 “기술이 스스로 발전한다고 믿는 것은 착각”이라고 지적했다. 한편으로 그는 “무엇인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면, 가능성이 성에 차지 않아도 실행하라”고 강조했다.

물론 모든 사람이 일론 머스크처럼 천재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처럼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런 결과를 낼 수 없다. 계속해서 도전하지 않았다면, 일론 머스크 역시 세기의 천재로 남지는 못했을 것이다.


기획/ 편집실
글/ 정라희 칼럼니스트

기업 철학과 역사, 비즈니스에 관한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이다. CEO 리더십과 기업문화를 다룬 저서로 〈현대속도〉가 있다.

※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