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R&D
혁신의 엔진, 도전적 연구를 지원하는 국제기구 HFSPO
지난 35년 동안 1년에 거의 한 명꼴로 노벨상을 배출한 연구비 프로그램이 있다고 한다면 믿기 어렵겠지만, 이는 국제기구 HFSPO(International Human Frontier Science Program Organization)라는 곳에서 실제로 거둔 성과다.
HFSPO는 1989년 G7 Summit(그림 2)에서 일본의 주도로 설립이 확정되었다. 1990년부터는 Human Frontier Science Program(HFSP)이라는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전 세계 연구계를 대상으로 한계 돌파형 생명과학 프론티어 기초연구를 하는 학제 간/국가 간 공동연구를 지원한다. HFSP는 서로 다른 국가에 거주하는, 서로 다른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국제 공동 융합연구를 지원한다는 철학에 기초하여 운영된다. 따라서 HFSP는 단일 국가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대부분의 연구 프로그램이 지원하기 매우 어려운, 고유한 틈새(niche)를 지원하도록 디자인되었다고 보면 적절하다.
HFSPO는 매년 회원국들이 납부하는 분담금으로 운영된다. 회원(국)은 2004년에 가입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총 17곳이며1), 1년 총예산은 약 5천5백만 USD(한화 약 730억 원)로 소규모다2). 프랑스 소재 HFSPO 사무국 또한 15명의 소규모 인원으로 운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FSPO는 비교적 단시간에 생명과학 발전에 기여했다는 면에서 전 세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 이는 치밀하게 디자인된 지원 범위 및 대상, 국제기구라는 특성에서 나오는 자유도와 독립성, 그리고 인류를 위한다는 당초의 취지가 변질되지 않도록 꾸준히 노력한 회원국들의 지지 덕분으로 풀이된다.
HFSP 포트폴리오는 크게 두 개의 트랙으로 구분된다. Research Grant(RG)는 PI(Principal Investigator) 트랙은 2~4인이 이끄는 학제 간, 대륙 간 공동연구팀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지원한다. 연구비는 팀의 PI 숫자에 따라 3년 동안 매년 300K~500K USD가 지원된다. Post-doctoral Fellowship(PF) 트랙은 박사 후 연수 지원 트랙으로 타국 이주, 기존 연구 주제 아닌 새로운 주제, 공동연구를 한 적이 없는 연구실에서의 연수만 허용한다. 생명과학 전공자와 생명과학 이외 전공자의 연수를 별도 트랙으로 운영하며, 연수 기간은 3년이다. 연수비(체재비, 연구비, 학술대회 참석을 위한 여비 등) 및 이주비, 가족수당 등을 지원한다. 이에 더하여 HFSPO는 Nakasone 상을 수여하고 있는데, 이 상은 전 세계 연구자 중 과학의 혁신적 진보에 기여한 돌파형 발견을 한 연구자에게 수여된다.
우리나라는 2004년 정부가 참여를 결정한 후, HFSPO의 회원국으로 정식 가입이 수락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HFSPO 분담금을 납부해 왔으며, 분담금은 연 9.98억 원 규모다. 우리나라 역대 총 한인/국내 거주 HFSP 선정자 수는 RG 24명, PF 55명이다. 절대 규모로는 큰 인원이 아니나,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평균 선정률은 HFSP의 연평균 선정률을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 세계 특허에 인용된 HFSP 수상자 논문들을 집계하여 HFSP 지원 프로젝트들이 ‘혁신’에 활용된 정도를 평가한 결과, 그 활용도는 약 9.6%로 분석되었다. 이는 전 세계 생명과학 논문의 평균 특허 인용 비율인 3.6%, HFSP 수상자 타깃 분야 논문들의 평균 특허 인용 비율인 5.4%에 비하면 유의하게 높다. HFSP가 지원한 고위험 연구가 도전적인 기초연구에 그치지 않고, 기대하지 않은 혁신의 엔진 효과까지 거두고 있다고 평가받는 이유다. 그렇기에, 기술개발과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근간으로 한 연구 주제나 결과를 찾는 분들은, 이 글을 읽으신 후 HFSP 홈페이지에도 눈을 돌려 보시기를 권한다.
[참고문헌]
- HFSPO webpage
- HFSPO Annual Report 2023, HFSPO 발간
- HFSPO 내부 보고서 ‘Review of the Human Frontier Science Program’ 2018, HFSPO 발간
1) 대한민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인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남아프리카공화국, 스위스, 영국, 미국, 유럽연합집행위원회
2)매년 대동소이하나 HFSP 2023년 Annual Report 기준, HFSPO 총예산의 32%는 일본이 부담하였고 우리나라는 약 1.4%를 부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