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은 한강의 기적을 이끈 핵심 에너지원이었다. 1978년 우리나라에서 원자력 발전이 시작된 이래 원전은 47년간 우리나라 총 전력의 약 1/3을 저비용으로 공급해 왔다. 1981년 약 1,900달러였던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은 40년이 지난 2021년 약 20배가 된 반면, kWh당 전기요금은 64원에서 108원으로 1.7배 수준으로밖에 오르지 않았다. 싸고 풍부하게 공급된 우리나라 전력은 55% 이상 산업용으로 사용되며 급격한 산업 발전의 근간이 되었다. 그 기저에 원자력이 있었다. 원자력은 안정적이고 풍부한 저비용 전력 공급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와 국민 생활에 활력을 제공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 급기야 2017년부터 5년간 탈원전 정책이 강력하게 시행되며 우리나라 원자력의 위상이 현격히 저하되었다. 하지만 탈원전 부작용으로 인한 역설로 원자력의 가치에 대한 국민의 공감이 높아지고, 향후 도래할 탄소중립과 AI 시대에서의 안정적 저비용 무탄소 에너지원의 필요성으로 인해 차세대 원자력인 소형모듈원자로(SMR)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탄소중립은 비단 전력 부문뿐만 아니라 수송과 산업 부문 등 비전력 분야에서도 경제적인 무탄소 에너지 공급이 가능해야 실현될 수 있다. SMR은 소형화를 통해 안전성 증진 개념 적용을 용이하게 하여 수요지 인근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전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무탄소 에너지를 저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80여 종의 다양한 SMR이 개발되고 있다. 전통적인 수냉각 원자로의 주요 기기를 일체화시키거나 자연력을 이용한 피동냉각 기능을 강화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SMR의 개발이 앞서 있는 반면, 액체 금속이나 헬륨가스로 냉각하는 장기 가동 혹은 고온 산업공정열 공급에 특화된 비수냉각 SMR은 미국 정부의 지원을 힘입어 곧 상용화될 전망이다. SMR은 대규모의 ESS와 송전망 확충이 필요한 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탄소중립 시대의 필수 에너지원이 될 것이다. 나아가 SMR은 AI 활용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향후 획기적으로 늘어날 데이터 센터의 안정적 전원으로서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다.

탄소중립과 AI 시대의 필수 에너지원인 SMR은 2030년 중반 이후 세계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현재 대형 원전 시장에서 확보한 주도권을 미래 SMR 시장에서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민관합작 SMR 개발 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민간의 투자가 확대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