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04
중국의 산업용 로봇 핵심부품 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이 진출할 만한 분야
전 세계 산업용 로봇의 51%가 중국에 설치
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IFR)이 발표한 ‘2024년 세계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전 세계 제조업 현장에서 가동된 로봇은 전년 대비 10% 늘어난 428만 1,585대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76만 대가 중국에서 가동 중이다.
중국 산업용 로봇의 3대 핵심부품: 컨트롤러, 서보모터, 감속기
본 원고에서 언급되는 부품의 시장 규모는 용도와 상관없이 전체 시장 규모를 의미한다.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컨트롤러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3.1% 늘어난 3조 8,730억 위안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컨트롤러 시장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10%~14%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대형 수입 브랜드가 주도하고 중소형 중국 브랜드가 뒷받침하는 양상이다. 화바오 증권(华宝证券)에 따르면, 2021년 중국의 컨트롤러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상위 4개 사는 Fanuc, Kuka, ABB, Yaskawa로 전체 시장의 57.5%를 차지한다.
또한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서보모터의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4.4% 늘어난 223억 위안으로 2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점유율을 보면, 2022년 기준 중국의 가장 큰 서보모터 브랜드는 중국 브랜드인 Inovance(汇川技术)로 전체 시장의 16%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브랜드가 중국의 서보모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지만, 해외 브랜드가 전체 시장의 65%를 차지하는 등 해외 브랜드에 대한 의존도는 여전히 높다. 특히 서보모터 중에서도 핵심기술인 고정밀 엔코더에 대한 해외 브랜드 의존도가 높아, 관련 업계가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신흥산업 연구기관 GGII(高工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의 6축 및 6축 이상의 협동 로봇용 감속기 판매량이 2023년부터 5년간 연평균 30% 넘게 증가하고 있다. 2027년에는 판매량이 45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감속기 시장은 RV감속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2022년 기준 중국의 RV감속기 시장은 일본 Nabtesco의 점유율이 52%로 가장 높다.
우리 기업, 고정밀·초소형 핵심부품 시장에서 경쟁력 충분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의 강자인 일본과 독일 제품이 중국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국산화 정책이 가속화되면서, 우리 기업이 단기간에 중국 시장에 진입하여 점유율을 확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한국은 첨단 로봇 개발에 필수적인 공학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 기업은 AI 스마트센서, 정밀 센서 등 고정밀·초소형 핵심부품 등의 첨단기술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므로,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충분히 적절한 시장을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