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모든 스타트업의 꿈이며 혁신과 성공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유니콘이 탄생한 지 10년이 지났다. 유니콘은 2013년 11월 초 미국의 신생 벤처캐피털 카우보이 벤처스의 CEO인 에일린 리가 ‘업력 10년 미만의 미국 소프트웨어 회사로 투자자에 의해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비상장 스타트업’이라는 개념으로 처음 세상에 알렸다. 에일린은 투자자 관점에서 어떤 회사에 투자하면 수익성이 극대화될까를 고민하면서, 200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동안 투자를 받았던 6만 개 소프트웨어기업을 분석했다. 그런데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특이한 회사들이 발견됐다. 6만 개 회사 중 39개가 창업한 후 불과 5~6년만에 무려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었던 것이다. 에일린은 이 놀랍고 신기한 회사들을 상상 속의 동물인 유니콘으로 명명했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지금은 어떤 상황이 벌어지고 있을까. 우선 유니콘의 개념이 처음과는 달리 업력, 국적과 분야에 상관없이 1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전 세계 모든 스타트업으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1년에 4개 정도의 유니콘이 탄생할 거라는 예상과는 달리 2014년 13개, 2015년 34개의 유니콘이 나타나더니, 2018년부터는 매년 100개 이상의 유니콘이 쏟아져 나왔다. 그러다 2021년에는 세계적인 유동성을 등에 업고 600개 이상의 유니콘이 태어나면서 ‘유니콘의 해’로 불렸다. 경기침체기에 들어간 2022년에도 300개 정도가 만들어졌으며, 2023년은 3분기까지 70~80개의 기업이 새롭게 유니콘에 이름을 올렸다. 그래서 유니콘은 더 이상 신기하지도 않고 희소성도 없는 상황이 됐다. 이제는 전설 속의 동물이 아닌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얼룩말이 된 것이다. 유니콘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인 크런치베이스, 씨비인사이트, 후룬연구소 등의 자료를 종합해보면, 2023년 12월 초 현재 전 세계에 약 2,700개의 유니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우리나라에서도 40개정도의 유니콘이 탄생했으며, 그 중에는 우아한형제들, 하이퍼커넥트와 같이 높은 가격으로 세계적인 기업에 인수된 기업도 있다. 또 쿠팡과 같이 글로벌 주식시장에 IPO를 하면서 엑시콘이 된 성공적인 기업도 나왔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유니콥스(죽은 유니콘)나 좀비콘(좀비 유니콘)으로 전락한 회사도 있다.
정부의 역할은 이제부터다. 우선 유니콘에 대한 지나친 환상을 버려야 한다. 유니콘이 창업생태계를 활성화하고 고용창출을 확대하며, 첨단기술 개발과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GDP 성장을 늘리는 등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만능 신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성공기업을 원한다면 구호만 외칠 것이 아니고 유니콘이 무엇 때문에 힘들어 하는지, 어떻게 하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기업 입장에서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