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제도는 발명의 공개를 전제로 일정 기간 독점권을 부여함으로써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이로 인해 전 세계에는 막대한 양의 기술 정보가 특허 문서 형태로 축적되어 있으며, 이는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소중한 지식 자산이다. 더 나아가 이종 산업 분야의 특허 정보를 참고하면 기존에 없던 창의적 융합이 가능해져, 전혀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유도할 수 있다.
[혁신을 가져다주기 위한 특허 정보 활용 방법론]
이종 산업 분야의 특허 정보를 통해 제품이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즉, 방법론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1) 제품이나 기술의 문제 분석
먼저, 제품이나 기술의 문제를 면밀히 분석한다. 문제점은 문제의 현상을 검토하고 문제의 배경을 진단하는 것이 좋다.
2) 문제 원인 분석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단순화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제품이나 기술을 도식화하는 것이 좋은데, 이 과정에서 제품이나 기술을 세부 기능별로 하여 각 요소 주체별 기능의 상호 관계에 대한 블록도 등을 그려 최대한 시각적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문제 원인 분석 파악에 좋다.
3) 이종 분야 특허 정보 검색
문제 원인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기능 관점 분석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되는 특정 기능을 기준으로 하여 이종 분야에서의 동일하거나 대체 가능한 기능을 발현시키는 요소를 이종 분야 특허 정보에서 찾아낸다.
4) 최종 문제 해결
이종 분야의 특허 검색을 통해 최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품이나 기술에 적용한 후, 필요한 아이디어를 확장한다. 아울러, 혁신의 결과물인 제품이나 기술 역시 특허로서 보호해야 할 가치가 높으므로 반드시 특허 등록하여 독점 배타적인 권리로 확보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마무리 지으며]
무한 경쟁의 시대, 대한민국 제조업은 빠르게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중국은 이미 기술 자립을 넘어 글로벌 주도권까지 노리고 있으며, 기존 방식으로 더는 따라잡기 어렵다. 이제는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절실하다. 그 해답은 바로 이종 분야의 특허 정보 활용을 통한 기술혁신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