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혁신 성공사례
최초와 최고를 지향하는 현장 중심 기술혁신
‘벤더블 디지털 디텍터(Bendable Digital Detector)’
2024년 13주 차 IR52 장영실상을 수상한 ㈜디알텍의 ‘벤더블 디지털 디텍터’는 산업용 디텍터로써 세계 최초의 제품이면서, 동시에 회사로서는 신사업 영역을 개척한 혁신 기술이다. 기술경영의 관점에서는 여러 성공 요소의 이상적인 맞물림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기술혁신의 교과서 같은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디알텍(DRTech)의 사명은 ‘Digital Radiography Technology’의 앞 글자를 따 만든 것이다. 디알텍은 기존의 간접 방식 디텍터가 주류였던 시장에서 기술적 난도가 높고 양산이 까다로운 직접 방식 디텍터를 세계에서 3번째로 개발해 내면서, 본격적인 디텍터 개발 및 공급사로 성장하였다.
디알텍의 NA개발그룹(New Application Development Group)은 그 이름처럼 새로운 적용을 모색하는 팀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그룹으로 격이 올라간 부서다. NA개발그룹을 포괄하는 산업용 디지털 디텍터 사업 부문의 문범진 기술본부장은, 15년간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CTO(Chief Technology Officer)를 지냈다. 디알텍의 창립부터 현재까지 공장장과 기술 영업 지원 업무 등을 거치면서 회사의 중추 역할을 해오고 있다.
NA개발그룹은 회사의 코어 기술인 디지털 디텍터를 적용할 새로운 활용처로 배관 용접부 품질 검사 분야를 발굴하였다. 이후 현장에 있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수년간 직접 현장을 찾아다녔다.
현장의 요구는 명확했다. 필름처럼 사용할 수 있으면서 실시간 판독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은 단축하고, 촬영의 정확도와 효율성은 높이는 것이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필름처럼 곡면에 맞추어 자유롭게 휘어지면서도 이를 붙였다 떼었다 하기가 쉬워 배관 용접 부위를 엑스레이로 실시간 검사할 수 있는 벤더블 디지털 디텍터(Bendable Digital Detector)’가 필요했다.
벤더블 디지털 디텍터는 배관에 맞추어 자유로운 곡률로 수없이 구부러지고 펴지기를 반복해야 하므로 내구성은 무조건적인 필수 요소였다. 이에 더하여, 영상에 불량이 발생해서는 안 되기에 신뢰성 또한 갖추어야 했다. 여기에 사용자 환경은 대부분 가혹한 야외의 환경조건으로, 디텍터는 비나 눈이 내리는 날씨 등 온도가 낮아서 차갑거나 높아서 뜨거워도 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했다.
또한 디텍터에는 배관의 촬영을 위해 TFT(Thin Film Transistor)가 사용된다. 따라서 반복되는 구부림에 대비해 TFT의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해야 했고, TFT를 앞뒤로 보호하는 상・하판 Layer 역시 잘 휘어지면서도 분리되지 않아 TFT를 잘 보호해 주어야 했다. 이 기술만 해도 수많은 아이디어를 내고 반복 시험을 하여 내구성과 최적의 상태를 확보해야 했기에 개발이 쉽지 않았다. 그런데 여기에 더해 구부러지는 정도도 자유로워야 했으므로 개발이 생각보다 훨씬 어려웠다.
이렇게 디알텍은 수년간 현장의 니즈를 파악하여 신제품인 벤더블 디지털 디텍터를 구상했고, 2020년 1월 제품개발에 착수하여 2년 만에 개발을 완료하였다. 2022년 4월에는 첫 매출을 올렸으며 대부분이 해외 매출이었다. 이듬해인 2023년에는 매출이 수직으로 상승하여 첫해 매출의 2배가 넘었으며, 역시 대부분이 해외 매출이었다. 디알텍은 새롭고 중요한 아이템을 확보하여 기존 의료용 시장에서 산업용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 것이다.
디알텍의 벤더블 디지털 디텍터는 출시 3년 차로, 현재 2세대 벤더블 디지털 디텍터를 판매하고 있다. 짧은 시간 동안 1세대 제품을 사용한 고객들의 새로운 니즈를 파악하여, 벌써 이를 반영한 2세대 제품이라는 기술 진화를 이뤄낸 것이다. 2세대 제품에서는 1세대에 비해 부피와 무게를 줄인 경량화를 구현하였으며, 해상도 또한 높였다. 2021년부터 현재까지 관련 특허도 36건이나 확보하여 경쟁제품에 대해 기술 진입장벽 또한 마련해 놓았다.
특허로 아무리 든든한 성벽을 쌓아도 경쟁자들의 모든 공격을 막아낼 수는 없다. 그렇다면 남은 선택지는 경쟁자를 앞서가는 공격뿐이다. 궁극적인 목적이 분명하고 그 길을 안내하는 기술로드맵이 있으며, 로드맵 중간중간에 달성해야 할 분명한 마일스톤을 가진 디알텍은, 왜 그들의 기술혁신이 교과서적인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