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03
중국 산업용 로봇 산업의 발전 전략과 대응 방안
중국의 산업용 로봇 산업 동향
중국은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시장으로, 2023년 기준 신규 판매 대수와 총운용 대수에서 모두 글로벌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생산 가능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은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을 중심으로 로봇 도입을 통한 산업 자동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2023년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신규 판매 대수는 27만 6천 대로 전 세계 시장의 51%를 점유했다. 총운용 대수는 175만 대로 세계 시장의 41%를 차지하며, 중국은 세계 최대의 로봇 시장으로 성장하였다.
중국의 로봇 산업 정책 동향
이렇게 중국의 로봇 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적극적이고 전방위적인 정책적 지원이 자리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 2025’, ‘13차 5개년 계획’, ‘로봇산업 발전계획’ 등을 통해 로봇산업을 핵심 육성 분야로 선정하고, 핵심부품 자립화 및 기술 혁신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차세대 첨단 로봇인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제조용 로봇 경쟁력 진단
중국 정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로봇 산업 육성 정책에 힘입어, 중국의 제조용 로봇 기술력은 이제 우리를 위협할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중국은 감속기, 서보모터 등 핵심부품의 기술 자립화 노력과 더불어 거대한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한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과 가격경쟁력까지 확보하였다. 따라서 2013년 1년에 달했던 한국과의 로봇 기술격차는 지속적으로 축소되어, 2023년에는 0.3년으로 좁혀졌다. 이렇게 중국은 우리의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였다.
한국 로봇 산업의 대응 방안
중국의 로봇 굴기는 한국 로봇산업 전반에 걸쳐 상당한 위협 요인으로 평가되지만, 중국이 보유한 세계 최대 로봇 시장은 한국 로봇산업의 시장 확대를 위한 기회 요인이기도 하다. 한국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우선, 중국과의 로봇 기술격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로봇 핵심부품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용 로봇의 대규모 수요를 담당하는 대기업과 부품·완제품 생산기업이 생산공정 현장에서 함께 개발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직접 평가하고 검증해야 한다. 이로써 수요처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신뢰성 높은 제품이 조기에 시장에 출시되고, 이것이 양산 체제로도 이어질 것이다. 한국 로봇 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서는 이러한 실증 및 보급 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성공적인 중국 로봇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중국 정부의 로봇 산업 육성 정책을 활용하여, 현지 시장 맞춤형 현지화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협동 로봇 분야는 우리가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제품을 홍보하여 판로개척에 나서야 한다. 이미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기업이라면, 지속적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현지 A/S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해야 할 것이다.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