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적으로 스타트업들이 와해적 혁신과 새로운 사업모델로 성공하며, 스타트업 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기존 기업은 기존 사업에 최적화되어 있는 전략, 조직, 시스템/프로세스, 자원, 리더십으로 인해 혁신적 신사업은 기존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가 어렵다.

 

혁신 신사업 창출 및 사업화의 핵심 요인

와해적 혁신과 신사업창출에 성공하는 기업과 실패하는 기업은 크게 4가지 핵심 요인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기업의 경영진은 미래와 성장에 대한 전략적 야망을 스토리텔링으로 제시하며 회사의 전략적 의도, 사업 목적을 설득력있게 호소하고, 비전 및 사업전략과 연결되는 새로운 혁신/탐험 대상 영역(사냥구역)과 담대한 목표수준, 성과에 대한 열망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 혁신에 동참하는 리더 집단을 모으고, 변화추진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성공하는 기업들은 또한 혁신분야에서 확립된 주요한 혁신규칙과 방법들을 엄격하게 적용해서 혁신 아이디어를 보육하고 스케일링한다. 문제와 아이디어를 내부/기술 관점이 아니라 고객관점에서 식별하고 반복시험을 통해 확보된 증거에 기반하여 사업모델을 검증, 학습한다. 이와 더불어 혁신 신사업에 적합한 양손잡이형 조직을 구축한다. 혁신 신사업이 와해적이거나 탐험적일 수록 기존 사업에서 분리하여 자율성을 부여하면서도 동시에 기업이 보유한 핵심 자산과 역량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혁신 신사업 조직은 전략적 목적과 목표를 고려하여 집중, 상향식, 하향식 등의 적절한 구조를 선정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림2)1)

1) Andrew Binns, Charles O’Reilly & Michael Tushman. (2022). 신사업탐험가. (변남석 옮김). 도서출판 청람.


 

혁신 신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조만이 아니라 혁신에 필요한 실험과 학습을 위해 적합한 시스템과 제도를 갖춰야 하고, 회사 전체 조직과 리더들이 지원해야 한다. 자원투자와 성과관리는 마일스톤에 기반한 단계별 펀딩과 포트폴리오 관리, 결과지표보다는 선행지표와 마일스톤을 활용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사의 재무, 인사, 법무, IT 등은 기존 사업의 표준적인 절차나 규정을 부과하기 보다는 유연하게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또한, 혁신 신사업은 스타트업 창업과는 다른 동기부여와 적절한 보상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마일스톤 성과 기반의 보너스나 모회사 스톡옵션 등 장기 인센티브는 좀더 균형있는 보상이 가능하나 시점이 너무 빠르면 장기적인 성장을 희생하고 단기 성과에 치우칠 가능성이 있으며, 너무 늦으면 동기부여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보상에 대한 반대 급부로 혁신 신사업을 추진하는 사람에게 개인적인 투자 등 위험 감수를 요구해서 신사업에 헌신하도록 하며 스타트업 '놀이'를 차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보이지 않는 장애 요인, ‘침묵의 살인자 경계하라

기존 기업에서는 핵심 사업의 성과를 창출해주는 고유한 무형의 요인들이 의도하지 않게 혁신 신사업을 방해하고 죽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혁신 신사업을 추진하는 리더/경영진, 혁신가/신사업탐험가는 이런 ‘침묵의 살인자’를 인식하고 혁신 신사업이 조용히 무너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


 

첫째 눈에 보이지 않는 장애 요인으로는 기존 사업의 토대를 이루는 암묵적 가정, 사업모델, 전문 역량 등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것이 있다. 코닥은 디지털 카메라를 발명했지만, 기존 관리자들은 필름, 은염 등의 프로세스가 없는 디지털 사진의 사업모델을 이해하지 못했다.

둘째로는 기존 기업에서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기대 수익이 클때조차도 위험을 회피하려는 성향이다. 성숙한 기업에서는 구성원들은 기존의 관행을 따르는 것이 기대되며, 기업의 구성원들도 이에 맞추어 보상을 인지하고 행동하게 된다. CFO(재무 부문)나 경영관리 조직에서는 혁신 신사업에 대한 자원 투자 의사 결정시 본연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편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셋째로 위험 회피와 더불어 기존 기업에서는 탐험 신사업의 불확실한 장기 가능성보다 기존 사업의 단기 확실성을 중시하는 성향이 강하다. 이는 기존 사업의 관리자들이 신사업에 대한 자원 배분을 어렵게하거나 단기 성과를 압박하여 의도치않게 신사업을 방해하거나 좌절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온다.

경영진/리더와  혁신가/신사업탐험가는 시스템, 프로세스, 방법론 자체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맹신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조직 저변에 깔려 있는 무형의 장애 요인을 인식하고 혁신을 추진하는 것과 동시에 변화를 관리하는 이중 리더십을 발휘해서 혁신 신사업을 성공으로 이끌어야 한다.




 

'전문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