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R&D 대응 현황조사 결과 발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산업 분야의 연구소 보유 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소부장 기업 R&D 대응 현황조사’를 실시했다. 현황조사는 7월 17일∼30일 소부장 산업 분야 연구소 보유기업 439개사(대·중견기업 22개 사, 중소기업 41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기업의 55.2%(242개사)가 미· 중 무역갈등,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으로 인해 기업 경영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44.8%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해, 어려움 속에서도 기업의 리쇼어링(Reshoring), 기업 간 협력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그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기업 경영에 미칠 영향
영향이 지속되는 기간에 대해서는 ‘2~3년’이라는 응답이 41.2%로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 장기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도 20.3%를 차지하였다. 기업 규모별로 대·중견기업의 68.2%가 영향 지속기간을 3년 이내로 본 반면, 중소기업은 48.7%가 3년 이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해,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장기간의 영향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어려움은 ‘원자재 수급 애로 및 생산 가동 중단 지연(40.5%)’, ‘수출입 지연 및 중단(31.4%)’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들은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6%)’ 외에도 ‘자체 R&D를 통한 국산화(21.4%)’에도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 방안과 관련하여 대·중견기업은 ‘국외 대체 공급선 확보(40.9%)’,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3%)’를 최우선으로 꼽아 대체 공급선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기업은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5%)’에 이어 ‘자체 R&D를 통한 국산화 (22.3%)’에 주력하고 있다고 응답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기술력 확보의 기회로 활용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 1년간 국내 소부장 산업의 기술경쟁력에 대한 변화를 묻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기업의 69.7%가 기술경쟁력이 강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기술경 쟁력 강화 요인으로는 ‘정부의 소부장 관련 기술에 대한 R&D 지원정책 강화’가 5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부장 관련 기술 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조성(41.7%)’, ‘공급기업의 자발적인 R&D 강화(32.8%)’ 등의 순이었다.
그림. 글로벌 공급망 변화로 소부장 기업이 직면한 어려움 및 극복 방안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부장 R&D 대책의 유용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 ‘세제지원이 유용하다’라고 응답한 기업이 83.1%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하였다. 반면,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과 관련하여 응답 기업의 57.2%가 정책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활용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지원 조건의 까다로움(36.4%)’, ‘정책에 대한 정보 부족(24.3%)’ 등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소부장 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부에 희망하는 지원책으로 ‘R&D 자금 지원의 확충(63.6%)’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견기업은 ‘관련 기초원천 R&D 과제의 확대(63.6%)’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낸 반면, 중소기업은 ‘R&D 자금 지원의 확충(64.5%)’이 가장 높게 나타나 기업의 기술 수준, 성숙도 등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 방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