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브리핑 01 - 산기협, 2018 KOITA R&D Index 조사 결과 발표
산기협은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심층적으로 조사분석한 '2018 KOITA R&D Index'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KOITA R&D Index는 그동안의 R&D 투자, 연구인력 등 정량적 분석의 한계에서 벗어나 기술기획부터 사업화까지 기업 R&D의 전 과정을 분석한 조사로, 우리 기업 R&D의 특징과 현재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하여 기업 R&D 계획수립과 정부 R&D 정책추진에 기여하고자 2016년부터 2년 단위로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산기협은 전·현직 기업연구소장 및 기술혁신전문가로 구성된 ‘R&D Index 개발위원회’를 통해 조사문항을 설계했으며 2018년 1월부터 3월까지 1,070개 기업01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에서 산기협은 R&D 자원의 확보부터 전략의 수립, 수행과정상 특징, 성과창출 및 사업화 전 과정에서 기업 규모별 특징을 분석하고 취약요인을 도출했다.
중소기업의 R&D 투자생태계
중소기업의 경우 R&D 자금의 약 절반(47.3%)을 외부로부터 조달하여, 외부 자금 의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은 R&D 자금의 대부분(90.2%)을 자체 비용으로 충당했고, 중견기업의 자체 자금 비중은 74.0%였다.
중소기업이 활용하는 외부 자금 중 정부의 R&D 과제 지원금이 2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기술보증기금 및 신용보증기금 활용(8.8%), 정부 정책자금 융자(3.8%)의 순이었다.
반면 벤처캐피탈(VC), 엔젤투자 등 민간을 통한 자금조달은 1.8%로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조달 상황별 기업비중으로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37.0%만이 R&D 비용 중 70% 이상을 내부에서 조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중 57.2%가 R&D비용의 절반 이상을 외부 자금에 의존하였으며, 15.3%는 정부 R&D 과제 참여로 70% 이상의 R&D 자금을 조달하였고, 외부 자금에 100% 의존하는 중소기업도 5.6%로 조사 됐다.
중견기업의 미래 도전적 연구
중견기업의 경우 도전적인 기술개발보다는 현상유지 중심의 R&D에 집중하는 등 기술혁신성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 비해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은 R&D 자원(인력, 예산) 중 신기술·신제품개발에 투자하는 비중이 44.1%로, 대기업(46.6%)이나 중소기업(50.6%)보다 낮았다.
특히, 세계 최초기술·제품개발 투자비중은 4.1%에 불과해 대기업의 11.1%와 큰 격차를 보였고, 중소기업의 7.9%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대기업의 R&D 개방성
대기업은 R&D 개방성이 상대적으로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기술 확보를 위해 외부기관 및 외부자원을 활용하는 비중은 대기업의 경우 25.0%로, 중견기업 29.8%, 중소기업 34.2%에 비해 낮았다.
특히 국내외를 포함한 공동연구 비중이 17.7%에 머물러, 중견기업 25.5%나 중소기업 28.4%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론
KOITA R&D Index는 우리나라 기업이 R&D 자금을 어떻게 조달하고 있으며, 어떤 유형의 R&D 과제를 수행하는지, 기술획득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기업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 R&D 활동의 실체에 더 접근하고자 노력했다.
즉, 중소기업의 R&D 투자생태계가 변화해야 하고, 중견기업은 미래 투자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며 대기업은 개방형 협력 노력이 보강되어야 한다는 점 등 ‘기업 규모에 따른 R&D 지원정책이 달라져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산기협은 2019년 설립 40주년을 맞아, 2030년 산업기술의 장기비전(KOITA2030) 수립을 추진 중에 있으며, KOITA R&D Index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산업계 현장에 기반한 장기비전과 전략적 방향을 설정해 나갈 계획이다.
01 대기업 53개사(5.0%), 중견기업 78개사(7.3%), 중소기업 939개사(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