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브리핑 - 산기협, 산업기술의 미래전망에 대한 산업계 인식조사 결과 발표
산기협은 2019년 40주년을 맞아, 2030년 산업기술의 장기비전(가칭 KOITA2030) 수립을 추진 중이며, 그 일환으로 산업계의 미래인식을 파악하고자 지난 6월 5일부터 7월 6일까지 기업연구소 보유 기업 826개사를 대상으로 ‘2030년 산업기술의 미래전망에 대한 산업계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2030년 경제·산업·기술에 영향을 미칠 키워드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은 2030년까지 경제·산업·기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01로 ‘AI(인공지능)(31.4%)’와 ‘남북경제협력(23.8%)’을 꼽았다.
이어 ‘3D프린팅/제조혁명(3위, 12.6%)’과 ‘가상/증강현실(4위, 12.3%)’이 뒤를 이었다.
특히 10대 키워드 안에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이 6개(AI, 3D프린팅, 가상/증강현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블록체인)나 차지해, 향후 경제·산업 전반에서 기술적인 변화가 가장 중요한 이슈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외적인 부분에서는 긍정적인 변수로 ‘남북경제협력(2위)’이, 부정적인 변수로는 ‘생산가능인구 감소(5위 9.9%)’가 꼽혔다.
2030년 주력 산업의 변화
2030년까지 산업구조의 변화와 관련하여 응답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적극적인 수용으로 산업구조가 변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력 산업의 경쟁력 변화여부를 묻는 질문02에서 디스플레이(3.19), 반도체(3.17) 등은 현상유지(3점)를 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조선(2.45), 철강(2.62), 석유화학(2.79), 자동차(2.81)는 경쟁력 하락을 예상하였다.
주력 산업의 퇴조를 대체하여 한국 경제를 이끌 새로운 주력 산업으로는 ‘바이오’, ‘에너지’, ‘통신’,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응답기업의 24.7%가 바이오를 신 주력 산업으로 지목했고, 에너지(10.7%), 통신(10.2%), 엔터테인먼트(8.1%)가 뒤를 이었다.
2030년 경제 및 산업 기술 전망
2030년까지 4차 산업혁명의 진전과 신산업의 발전 등을 통해 세계 및 한국 경제는 동반성장할 것으로 보는 사람이 더 많았다.
세계 경제에 대한 전망을 묻는 질문에 대해 절반 이상(50.5%)의 기업이 현재보다 나아질 것으로 응답했으며, 50.9%의 기업은 한국 경제가 좋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29.2%의 기업은 한국 경제가 침체국면 혹은 후퇴할 것으로 내다봐, 비관적 전망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니콘기업(글로벌 리딩기업)이나 파괴적 혁신03을 이끄는 세계적 기업이 탄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게 보았다.
2030년까지 파괴적 혁신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32.1%에 그쳤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11.1%로 중견기업(34.6%)이나 중소기업(32.7%)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기술과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R&D에도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R&D 트렌드에 대한 전망에서 기업들은 ‘AI 기반 R&D(31.2%)’와 ‘융합 R&D(25.3%)’가 주요 이슈로 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밖에 ‘클라우드기반 R&D(12.6%)’와 ‘사이버R&D(8.0%)’ 등이 언급되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급진전으로 R&D 형태도 크게 바뀔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변화로 인해 기업 R&D도 연구 프리랜서 증가(3.54), R&D 전문기업의 성장(3.49), 개방형 혁신의 진전(3.48)등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5점 척도, 3점 보통).
결론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 산업계는 긍정적인 경제전망을 하는 가운데, 산업계 영향을 미칠 미래이슈에는 ‘명암’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을 통한 기술발전과 남북경제협력을 기회 이슈로 인식하는 반면,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 생산 가능인구의 감소 등은 위협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재의 주력 산업 중 상당수가 경쟁력을 잃고 새로운 산업이 부상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기술의 급변으로 R&D의 형태도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01 키워드는 주관식으로 응답자가 직접 작성하였으며, 각계 전문가가 제시한 키워드 36개가 예시로 제공되었다.
02 경쟁력 변화를 5점 척도로 질문. 1점은 급격히 쇠퇴, 3점은 현재수준 유지, 5점은 획기적 성장으로 구분
03 파괴적 혁신 : 새로운 아디이어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품이나 서비스로 기존 시장을 파괴하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