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 & 사이언스

재미있는 생명이야기 - 미세먼지와의 전쟁

재미있는 생명이야기는 우리 일상과 연계되어 있는 생명과학의 주요 개념들을 살펴봅니다.

글_ 방재욱 명예교수(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미세먼지가 봄철 황사와 함께 찾아오는 불청객이 아니라 사철아무 때나 방문하는 단골손님으로 신분이 바뀌며 일상의 주요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기 중의 미세먼지는 숨을 쉴 때 호흡기관을 통해 폐로 들어와 폐의 기능을 떨어뜨려 면역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특히 입자 크기가 작은 초미세먼지는 폐 깊숙이 도달해 혈관을 통해 온몸으로 퍼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선진국들에서는 초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우리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리고 현재 인류가 겪고 있는 바이러스(Virus)와의 전쟁보다 앞으로 인류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세먼지와의 전쟁에는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할까.


미세먼지의 이해

미세먼지는 자동차 매연,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이나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스 등 발생 원인이 다양하며, 중국으로부터 날아오는 황사나 스모그를 통해서도 많은 미세먼지가 유입되고 있다.

초미세먼지는 담배 연기나 가스레인지에서 요리할 때도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발생원은 국내 요인이 50~70%, 국외(특히 중국) 요인이 30~50% 정도로 알려져 있다.
 

20.png


PM(Particulate Matter)으로 나타내는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지름이 10㎛(1㎛=1백만분의 1m) 이하인 PM10(미세먼지)과 2.5㎛ 이하인 PM2.5(초미세먼지)로 구분한다. 초미세먼지의 지름은 머리카락 지름의 1/20보다도 작다(그림 1).
 

21.png


대기오염정보에서 미세먼지의 농도는 1㎥의 대기 중에 포함돼있는 양을 ㎍/㎥(㎍=1백만분의 1g)으로 나타내며, 농도의 등급에 따라 표 1에서와 같이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으로 구분하여 예보되고 있다(한국환경공단 홈페이지 참조: www.airkorea.or.kr).

PM10의 기준은 농도 등급에 따라 0~30 '좋음', 31~80 '보통', 81~150 '나쁨', 151 이상은 ‘매우 나쁨’이다.
 
PM2.5의 농도 등급기준은 환경부가 지난 2월 27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환경정책 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기존 예보기준인 좋음(0~15), 보통(16~50), 나쁨(51~100), 매우 나쁨(101 이상)이 좋음(0~15), 보통(16~35), 나쁨(36~75), 매우 나쁨(76 이상)으로 강화되어 시행중이다.

시행령에는 초미세먼지의 환경기준을 기존의 예보기준인 일평균 50㎍/㎥와 연평균 25㎍/㎥에서 일평균 35㎍/㎥와 연평균 15㎍/㎥로 낮추어 시행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인 일평균 25㎍/㎥ 및 연평균 10㎍/㎥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지만 미국이나 일본과는 동일한 수준이다.
 

22.png


초미세먼지 주의보와 경보 발령기준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현재 2시간 90㎍/㎥의 주의보 발령기준을 75㎍/㎥로 낮추고, 2시간 180㎍/㎥의 경보 발령기준을 150㎍/㎥로 낮추어 7월부터 시행 예정이다(표 2).
 

23.png


한국환경공단에서는 대기오염정도 예보를 통해 전국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농도 현황을 알리고 있다(그림 2).


미세먼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미세먼지에 장기간 노출되면 면역력이 급격하게 떨어져 감기, 천식,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질환이나 심혈관질환은 물론 안구나 피부질환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초미세먼지는 입자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호흡기를 통해 바로 폐로 들어와 폐포(肺胞)의 혈관으로 흡수되어 혈액을 따라 온몸으로 운반되어 뇌졸중이나 심장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미세먼지에 대한 행동요령을 ‘일반인’과 ‘민감군’으로 구분해 발표하고 있는데, 민감군은 어린이, 노인, 폐질환이나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어른이 대상이다.

행동요령에서 미세먼지 등급이 ‘보통’ 수준일 때 일반인은 행동에 제약이 없지만, 민감군은 실외활동시 몸의 상태에 따라 유의해 활동해야 한다.

‘나쁨’ 등급에서는 일반인은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을 자제해야 하며, 민감군은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을 권고하고 있다.
 
‘매우 나쁨’ 수준에서는 일반인도 실외활동을 자제해야 하며, 민감군의 경우 실내 활동으로 제한하고 있다.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매일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고 미세먼지에 대한 행동요령에 따라야 한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의 건강 생활수칙으로는 ① 등산, 축구 등 오랜 실외활동 자제, ②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 및 심폐질환자의 실외활동 자제, ③ 학교, 유치원 체육수업의 실내수업 대체 권고, ④ 실외활동시 마스크, 보호안경, 모자 등 착용, ⑤ 창문을 닫고, 빨래 실내 건조, ⑥ 세면을 자주하고, 흐르는 물에 코를 자주 세척, ⑦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 ⑧ 야외 바비큐 자제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미세먼지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항시 관심을 가지고 지켜나가야 할 수칙이다.

앞으로 닥쳐올 ‘미세먼지와의 전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 범부처 합동으로 미세먼지의 배출원을 정확히 밝히고,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장기적 환경정책을 제대로 마련하여 시행해야 한다.

노약자와 어린이 등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는 물론 시민 건강에 대한 미세먼지의 영향 조사와 환경보건 분야 연구에 대한 관심과 지원도 대폭 확대돼야 한다.

대학의 미세먼지 관련 학과나 연구기관들은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에 대한 대중교육에 적극 나서야 하며, 언론매체도 미세먼지의 실체와 영향에 대한 올바른 사회인식 확산에 앞장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