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NET)인증 기술

신기술(NET)인증 - 신기술(NET)인증 기술

신기술(NET)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인증한 신기술입니다.

신기술(NET·New Excellent Technology)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운영하는 인증 제도로서 개발된 신기술의 상용화와 기술거래를 촉진하고자 도입되었다.

기업 및 연구기관, 대학 등에서 개발한 신기술을 조기 발굴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신기술(NET)인증’을 받은 기술 가운데 화학·생명, 건설·환경 부문의 기술을 소개한다.



 화학·생명 부문

광학특성이 우수한 고순도 렌즈용 XDI 제조 기술
 

26.png

27.png


렌즈용 모노머로 사용할 수 있는 투명성, 색상, 중합성 등 광학 특성이 우수한 고순도 XDI 제조 기술이다.

불순물과 렌즈 물성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XDI 합성 기술로 촉매·반응 조건 조절로 불순물을 최소화하였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투명성 및 고굴절률 등 광학 특성이 우수한 고순도 XDI 제조 및 정제 기술 확보

② 렌즈 모노머로 응용시 기존 국내에서 개발 중이던 XDI 제품으로는 불가능했던 렌즈 투명성 확보

③ 코팅 및 점접착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여 기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이 어려운 난부착, 고굴절 코팅 분야 등에 필요한 물성의 모노머 제공

④ 복잡한 3상 반응계의 설계 및 운용 기술 등 추후 기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제조 공정에 적용 가능한 기반 기술 확보

⑤ 수입에 의존하던 XDI의 국산화 및 안정적인 원료 공급


경구용 항생제 테비페넴 원제의 팔라듐 촉매 및 고압수소를 이용한 제조 기술
 

28.png

29.png


99.9% 순도의 품질 경쟁력과 수율 72.3%의 3단계 공정, 출발물질 MAP의 생산경쟁력을 갖는 경구용 테비페넴 원제 및 중간체의 제조 기술이다.

희귀금속 팔라듐 탄소 촉매와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10톤 당 1묶음인 대용량에서의 10kgf/㎠ 고압조건 촉매 반응기술과 촉매의 회수 및 재처리 기술이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원개발사의 제조방법을 개선한 결정화법으로 수율을 2배 이상 향상해 생산성 및 원가 경쟁력을 가지는 테비페넴 피복실의 제조 기술 확보

② 결정화의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시험생산 결과 99.0% 이상의 순도 및 함량으로 높은 품질 경쟁력 확보

③ 본 기술은 회수 및 재처리 되어 제품 생산에 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촉매로서, 카바페넴계 항생제 합성과 원료의약품 및 정밀화학 분야에 활용 기대


(공동)피부흡수 증진용 EGF/DOTAP의 하이브리드형 다중 나노구조체 플랫폼 기술
 

30.png

31.png


다양한 피부에 효능을 주는 생리활성단백질 특성에 따른 맞춤형 단백질, 지질 하이브리드형 다중층 나노구조체를 제조하는 플랫폼 기술이다.
 
해당 기술의 하이브리드형 다중층 나노구조체는 상온, 상압에서 자발적인 자기조립 방법에 의해 제조하므로 피부에 효능을 주는 단백질의 높은 생리활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90% 이상 봉입효율을 높여 피부 흡수 최적의 리포좀 크기를 구현함으로써 생체 내 혹은 세포내로 전달이 용이하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현재 화장품에 적용되고 있는 리포좀은 3차원 구조의 단백질을 담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기술이 적용된 바이오 화장품이 출시될 경우, 단 시간 내 피부에 주름개선, 미백뿐만 아니라 기능성 화장품 영역으로 확대되어 아토피, 여드름, 탈모 등의 생리학적 효과 극대화 기대

② 향후 의약품 및 백신 분야 적용 예정

③ 다양한 생리활성 단백질을 활용한 고기능성 화장품 및 안티에이징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 가능


(공동)연속 유리섬유 보강 3차원 구조체(3D-Tow) 인서트 사출 스티프너 제조 기술
 

32.png

33.png


열가소성 연속 유리섬유 보강 복합소재를 테이프 형태의 중간재로 생산한 후 이를 다자유도 로봇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의 구조체로 제작하는 기술이다.

연속 섬유가 보강된 3차원 형상의 구조체를 사출 제품의 인서트로 활용하여 장섬유 복합소재(LFT)를 오버몰딩(Over-Molding) 하는 부품을 생산한다.

본 기술의 개발로 복잡한 형상을 효율적으로 보강해 로드(Rod) 및 시트(Sheet) 삽입 인서트 사출 대비 복합소재 적용 부품의 설계 자유도, 경량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인장강도 571㎫, 인장강성 24.1㎬, 기공율 3부피% 수준의 품질을 갖는 열가소성 연속 유리섬유 보강 복합소재를 테이프 형태 중간재로 제조하는 기술력 확보

② 높은 생산성 및 우수한 품질의 연속 섬유 보강 3차원 구조체 제작 기술력 확보

③ 3차원 보강 구조체 생산을 다자유도 로봇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수행함으로써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 생산 대응 가능

④ 중간재 제조 기술은 보강섬유 변경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적용을 통해 다양한 3차원 보강 구조체로 확대 가능


 건설·환경 부문

핀과 홀 방식을 이용한 공장형 슬립 폼 케이슨 제작용 유압식 리프팅 및 전후진이 가능한 이송 기술
 

34.png

35.png


케이슨은 깊은 수심을 가진 항구의 방파제나 방파호 안을 구축하는 대형 구조물로, 주로 태풍이나 파랑으로부터 내측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기술이다.

리프팅 시스템은 케이슨 구체 타설시 핀, 홀 타입으로 겐트리 타워에 연결된 슬라이딩 바에 복수의 관통홈을 두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관통공에 삽입하여 슬립 폼 셔터를 상승시키는 기술이다.
 
리프팅은 수평유지율 5㎜ 이내 수치 제어동조 시스템 기능으로 자동 통제가 가능하며, 이송은 전·후진이 자유롭게 통제가 가능하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핀과 홀 타입으로 구성되어 그립 조우의 마모로 발생되는 이탈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수평유지율 5㎜ 이내 수치 제어 동조 시스템 기능으로 자동 통제가 가능

② 제작장에서 완성된 케이슨을 안전하게 플로팅 독으로 전·후진 이송

③ 국내 개발기술로 제작비용이 40~50% 이하 절감

④ 핀과 홀 타입으로 정밀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수치 제어 동조 시스템을 적용하여 경제적인 공장형 슬립 폼 케이슨 제작

⑤ 외국 기업에 의존했던 슬립 폼 셔터 리프팅, 이송 장치의 수입 대체


알루미늄 원형관 개선 다중 금형 포트홀 압출 기술
 

36.png

37.png


기존 포트홀 압출시 제품의 단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웰딩 라인(Welding line)에 따른 기계적 특성 저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중 금형을 통하여 웰딩 라인을 교차 분산시키는 중공형 압출 형재 제조 기술이다.
 
본 기술은 압출시 제품 단면에 형성되는 웰딩 라인을 교차 분산시켜 기존 심리스 인발(Seamless drawing) 형재와 유사한 기계적 특성 확보 및 기존 포트홀 압출(Porthole extrusion) 형재 대비 인장 강도가 약 20% 향상된 기계적 성능을 확보하였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기존 포트홀 압출 형재 대비 인장강도가 약 20% 향상된 중공형 압출 형재제조 기술 확보

② 높은 기계적 특성과 압출 생산성을 보유한 중공형 압출 형재 생산 기술 확보

③ 내구성 및 강도가 향상된 중공형 압출 형재 적용을 통한 교량 및 난간, 차량 방호책 등의 안전성 증가

④ 기존 포트홀 제조 기술로 제조된 압출 형재의 피로강도 향상에 따른 프리미엄 제품 시장 진출


비용접식 배관용 절연조인트 기술
 

38.png

39.png


기존 용접식 절연조인트(가스용 전기절연이음관)와 달리 비용접식 구조(Wire wound type), 보강링 구조(Surround ring type)를 갖는 절연조인트의 설계 및 제작 기술이다.
 
본 기술은 비용접 구조를 적용하여 용접열의 발생을 방지하여 열에 매우 약한 절연 조인트의 주요 비금속 구성품인 전기절연링, 절연체 등을 열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며, 제품의 사용수명 연장을 위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성능시험의 주요항목인 수압 시험시 비용접식 막음판을 이용해 제품 손상방지와 시간 및 비용 절약이 가능하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절연조인트를 통해 전기전도를 차단하였을 경우 전자의 이동을 통해 발생하는 부식을 차단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 응용 가능

② 국내 약 112억 원으로 추산되는 시장 규모로, 국내 경쟁 업체가 없기 때문에 약 100억 원대의 수입대체 효과 기대

③ 소재, 원자재 등 유관 산업에 파급효과 및 일자리 창출


(공동)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 합성말뚝을 사용한 복합말뚝 기술
 

40.png

41.png


두께가 5~6㎜인 강관 내부에 PC 강봉이 설치된 PHC 파일을 원심성형으로 합성하고 선행 압축력을 도입한 PCFT 파일의 설계 및 제작 기술이다.

본 기술은 PHC 파일 상부에 PCFT 파일을 연결해서 수평하중 지지능력을 향상시킨 PCFT 복합말뚝의 설계 및 제작 기술이다.

기존 PHC 및 강관 파일 대비 휨강도와 전단강도가 증대되어 수평하중 지지능력의 향상으로 말뚝의 시공수량을 줄이고 고가의 강재 사용량을 줄여 말뚝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휨강도와 전단강도가 극대화된 CFT(Concrete filled steel tube) 부재의 해석 및 제작

② 수평하중 지지능력을 향상시킨 CFT 부재를 이용한 복합말뚝 설계와 지지능력 증대를 통한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

③ 수평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말뚝기초 수량을 감소시켜 기초공사비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④ 강재 사용량 감소로 철광성과 유연탄의 수입량이 줄어들어 수입대체 효과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