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나침반

자기혁신 칼럼 - 샴페인 타워

자기혁신 칼럼은 회원사의 기업인, 이공계 연구원 등에게 자기혁신과 리프레시가 되는 재미있고 흥미로운 자기계발 칼럼입니다.


1.PNG

2.PNG


글_ 오세웅 작가


오사마 빈 라덴을 끝까지 추적해서 처리한 특수부대원들은 미국의 네이비실(Navy SEAL; 미국 해군의 엘리트 특수부대) 팀원들이었다.

각 부대의 명예를 걸고 어디 내놓아도 손색없는 최정예 군인들이 모여 각축을 벌이지만 네이비실 대원이 되는 훈련 과정은 가혹하다.

24주간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첫 2주간 기초훈련 기간에만 대다수가 탈락한다.

어떤 경우는 220명이 참가했지만 불과 21명만 남은 적도 있다.

다음 코스는 5일 반 동안의 헬워크(지옥훈련)다.

1일차는 수면 없이 20시간 훈련을 받는다. 별거 아닐 것 같지만 장소가 극한지대이다.

너무 추워서 피부 통증을 느끼는 바다 속에서 폭탄설치를 위한 잠수도 하고, 어깨가 빠질 만큼 보트도 젓는다.

첫날 훈련을 끝마치면 무지막지한 피로감이 엄습한다.

다음날 여명, 교관은 잠에 곯아떨어진 대원들을 깨워 칼날 바람이 몰아치는 해안으로 데려간다.

교관은 ‘떠오르는 태양에게 인사나 해두라’고 서두를 꺼낸다.

이어서 1일차는 ‘고작 20시간에 불과했지만 지금부터는 훈련이 더욱 혹독해질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는다.

하지만 1일차만 해도 바늘처럼 피부를 찔러대는 극한 추위의 파도 속에서 50m까지 잠수했고, 육상에서는 6㎞의 장애물 훈련도 돌파했다.

3㎞를 수영했으며, 통나무를 짊어지고 뛰기가 끝나면 셀 수도 없는 팔굽혀펴기를 했고, 복부운동도 숨이 멎을 만큼 했다.

네이버실의 훈련장에는 곳곳에 벨이 설치되어 있다.

힘들거나 못 견디면 언제 어디서나 벨을 누를 수 있다. 벨을 누르면 지옥에서 바로 해방될 수 있다.

교관은 아무 말없이 벨을 누른 훈련생을 고이 집으로 돌려보낸다. 아무튼 기묘한 타이밍이었다.

1일차보다 훨씬 가혹한 훈련이 기다리고 있다는 교관의 말 한마디에 2일차에는 많은 훈련생이 주저 없이 벨을 눌렀다.

그러나 2일차 훈련은 결코 1일차보다 가혹하지 않았다. 벨을 누른 훈련생들은 실제의 미래가 아닌 상상의 미래에 졌던 것이다.

골프선수도 티샷을 하기 전에 이미 마음속으로 50% 이상은 상대선수에게 진다고 한다. 상대선수의 명성에 눌리기 때문이다.

이 현상은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가령, 낙타를 처음 본 인간은 두려워했다. 등에 바가지를 엎어놓은 듯 커다란 혹, 두리번 거리는 큰 눈, 금세라도 인간을 핥아먹을 것 같은 커다란 입에 놀라 낙타를 보면 도망쳤다.

시간이 흐르면서 낙타가 의외로 얌전하다는 사실을 눈치챘다. 인간은 조금씩 낙타의 곁으로 올 만큼 대담해졌다.
 
다행히 낙타는 인간이 다가와도 위협을 하거나, 화내지 않았다. 인간은 낙타를 더 이상 무서워하지 않았다.

마침내 재갈을 물렸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고삐를 주어 조정하게 했다.

유대인의 스승으로 대단히 현명한 작가인 앨런 루는 두려움에는 두 종류가 있다고 말한다.

하나는 파하드(Pachad). 파하드는 상상한 것에 대한 두려움이다.

지하실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면 도둑이 들지 않았을까, 타고 가던 비행기가 갑자기 추락하지 않을까,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내가 무능력하다는 것을 회사에 알리게 되지는 않을까…

즉,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걱정하는 심리상태다. 초등학교 첫 등교일, 알 수 없는 두려움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 또한 파하드다.

뇌과학이 밝혀낸 바에 따르면 파하드는 과잉반응에 불과하다.

또 하나는 이라(Yirah). 지금까지 속했던 틀을 벗어나 새롭고 더 큰 곳으로 이끌려 갈 때 느끼는 두려움이다.
 
마음속에만 있던 계획을 막상 실행하려면 실패하지 않을까, 남들의 우스갯거리가 되지 않을까, 안정된 직장을 버리고 창업하는 게 과연 옳을까… 라는 두려움이 앞선다.

네이버실 훈련 과정에서 탈락한 이유나 낙타를 괜히 무서워한 두려움의 정체는 이라다.

이라는 다가오지도 경험하지도 못한 미래를 미리 걱정하는 두려움이다.

가령, 아티스트는 늘 창작에 넘쳐 사는 인종이 아니다. 오히려 늘 창작의 벽에 부딪쳐 사는 부류다.

고민하고 괴로워하고 애타는 순간이 매일이다시피 일어난다. 더 이상 창작할 게 없다고 느끼는 순간도 매번 있다.

크리에이티브 일니스(Creative illness)라는 말이 있다. 창작 바로 직전에 느끼는 두려움이다. 이 순간을 넘기면 시야가 확 트이는 경험을 한다. 막혔던 벽이 뚫린다.

마라토너가 더 이상 못 달리겠다고 느끼는 순간인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도 너무 고통스러운 그 순간을 넘기면 마치 새로운 에너지를 받은 듯 몸이 가벼워진다.

당연히 파하드와 이라는 대응하는 방법이 달라야 한다. 또한 뭐든지 해봐야 안다. 그게 두려움을 해결하는 답이다.

2018년은 이미 시작되었고 시간은 가차없이 흘러간다.

시작한 일은 많지만 종종 브레이크가 걸려서 앞으로 나가지 못할 때가 있다.

사실 브레이크의 주범은 추진력, 의지력, 행동력의 결여가 아니다. 시작의 ‘전제’가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파티나 결혼식에서 샴페인 잔을 피라미드 형태로 쌓은 후, 꼭대기 잔에 샴페인을 부으면 머지않아 그 잔에 샴페인이 가득 차면서 밑으로 흘러내려 그 밑의 잔을 차례로 채우는 샴페인 타워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원하는 것을 이루고 싶다면 샴페인 타워의 꼭대기에 놓인 단 하나의 잔에 샴페인을 붓는 것만으로도 수십 명이 즐길 수 있는 샴페인 파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시작의 전제는 다른 말로 표현하면 근본원리다. 성공하고 싶다면 성공이란 무엇인지를 스스로 따져본다.

돈을 많이 벌거나, 이웃에 잘난 체하고 싶은 게 자신의 성공이라면 결코 샴페인 타워를 완성시킬 수 없다.

음악에 일생을 바치고 싶다면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한다.

‘음악이 무엇인가’와 ‘음악이란 무엇인가’는 그 질문 자체가 다르다.

즉, 전제가 다르다.

‘음악이 무엇인가’는 교과서에 나와 있지만, ‘음악이란 무엇인가’는 스스로 찾아내서 정의 내리는 수밖에 없다.

유럽인들은 철학을 배울 기회를 주지 않은 채 엘리트를 육성할 수는 없다고 믿는다.

지극히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리세(초등학교 5년을 마치고 진학하는 7년제 학교)는 문과, 이과 가릴 것 없이 최종학년에 철학 교육이 포함되어 있다.

프랑스 고교생 대부분은 정답이 없는 철학 문제에 대해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몇 시간에 걸쳐 논술하는 트레이닝을 거친다.

철학하는 힘이 가장 중요한 교양이라고 여긴다.

바칼로레아(대입 자격시험)의 첫째 날, 첫 교시에 치르는 시험과목도 철학이다.

바칼로레아에 합격한 학생은 원칙적으로 어느 대학이나 입학이 가능하다.

프리패스를 얻는 셈이다.

제대로 길을 가고 있는지는 행동으로 실제 적용해 보고 그 결과가 유용한지를 알아봐야 한다.

결과가 좋으면 전제가 맞는 것이고 결과가 시원찮으면 그 전제를 체크해 봐야 한다.

시작하기가 두렵다면 먼저 그 두려움의 종류를 파헤친다.

돌을 던지려면 먼저 돌을 들어야 한다. 전제가 올바르면 시작을 멀리 던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