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07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기업과 함께 가는 길, ‘네트워킹’


14.PNG

▲ 김상훈 연구위원 중소기업연구원


4차 산업혁명, 기업 발전의 변곡점

4차 산업혁명의 컨트롤 타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정리되었다.

신임 장관은 ICT 혁신을 통해 실체가 있는 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을 수립·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구축해 온 세계 최고의 ICT 인프라를 더욱 고도화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 개발과 전문 인력 양성에 집중 투자할 것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전 산업과 서비스에 스마트를 입힐 수 있도록 견인하는 역할을 담당하겠다는 신임 장관의 목표의식과 함께 30년 넘게 축적된 그의 지식과 경험은 ‘실체 있는 정책’을 가능케 할 것이라 기대하게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과 초자동화’를 통해 제조업 혁신을 넘어 기업, 업종, 산업간 경계를 허물면서 사회, 경제, 구조적 측면에서의 혁신적 변화를 추동할 것으로 평가된다.

IoT, ICT, AI, Big Data, Cloud Computing, CPS, 로봇, VR 등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 기술이다.

4차 산업혁명의 근본적 실체에 대한 이견은 차치하고, 실제 주요 선진국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여 첨단 기술을 더욱 고도화시키면서 제조업의 부활을 진행하고 있는 것만큼은 사실이다.

Remaking America(미국), Factories of the Future(EU), Platform Industry 4.0(독일), 일본재흥전략 등은 자국 상황에 맞게 추진되는 제조업 혁신 정책이라 할 것이며 한국 역시 ‘제조업 3.0’을 통해 제조업의 고도화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고 있다.

기업들에게도 분명한 기회이다.

인건비나 원자재 비용을 낮추는 ‘절감’을 통해 진행되던 생산성 향상 노력이 새로운 디지털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첨단 기술과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의 기회가 4차 산업혁명의 최전선에 있는 기업들에게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생산 설비의 확보 없이도 기술력과 아이디어만으로도 제조업 시장 진입이 가능한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조 중소기업, 기술 기반 창업기업 등에게는 4차 산업혁명이 기업 발전의 변곡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정책 세팅,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에 대한 충분한 숙고가 필요

이러한 기대가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그리고 이를 위한 ‘실체 있는 정책’이 시장에서 환영받으며 기업과 함께 발맞춰 가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경영 환경과 실태를 반영하는 정책 수립 노력이 그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제조업 중심 국가인 우리나라는 전체 제조업체의 99%가 중소기업이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83%가 1~9인 규모의 소공인 업체이다.

서비스 부문의 업체 실태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2013년 기준 서비스 부문 전체 사업체의 85%가 소상공인 규모로, 대다수 중소기업이 영세한 상황이다.

기업의 규모가 아니더라도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데, 1995년 당시 대기업 95, 중소기업 103이던 생산지수는 2015년 각각 456과 152를 기록하며 대기업과의 생산성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산업기술 인력 부족의 66.6%가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숙련인력의 부족은 기술 향상뿐만 아니라 제조업 생산성 향상에 걸림돌이 되고 있음이 분명한 사실이다.

2014년 29.4p이던 대·중소기업 간 IT 활용 격차가 2015년에는 34.5p로 더욱 벌어졌다.

우리나라 창업의 63%가 생계형 창업이며 기회형 창업은 21%에 불과한데, 창업기업의 3년 생존율은 약 38%로 스웨덴이 75%, 미국 등 주요 국가의 창업기업 생존율이 50%대인 것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더욱이 국내 제조 중소기업의 66.4%가 B2B형으로 On Demand 시대 제조 중소기업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더 깊어지는 대목이다.

한국 기업의 경영효율은 2012년 25위에서 2016년 48위로, 혁신역량은 2011년 9위에서 2016년 33위로 하락하였다.

세계제조업경쟁력지수 역시 2016년 5위에서 2020년에는 6위로 1단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실정이다.

더욱 큰 문제는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불확실성이 이들 중소기업체들에게도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중소기업연구원이 실시한 중소 제조업체 대상 제조스마트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제조스마트 내용이나 효과에 대해 모른다고 답한 업체가 전체의 70%이며 72%의 업체는 제조스마트화 계획이 전혀 없다고 답하였는데, 그 이유가 현재와 같은 공정 체계 그리고 수작업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생산과 소비의 시공간적 경계가 붕괴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결국 아이디어와 기술력 그리고 유연성을 갖춘 중소기업 육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바와 같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 등을 검토해 보면 과연 이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파도에 올라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이 실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에 대한 충분한 숙고가 필요한 것이다.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숙련인력의 부족은 기술 향상뿐만 아니라 제조업 생산성 향상에 걸림돌이 되고 있음이 분명한 사실이다.

2014년 29.4p이던 대·중소기업 간 IT 활용 격차가 2015년에는 34.5p로 더욱 벌어졌다.

우리나라 창업의 63%가 생계형 창업이며 기회형 창업은 21%에 불과한데, 창업기업의 3년 생존율은 약 38%로 스웨덴이 75%, 미국 등 주요 국가의 창업기업 생존율이 50%대인 것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더욱이 국내 제조 중소기업의 66.4%가 B2B형으로 On Demand 시대 제조 중소기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더 깊어지는 대목이다.

한국 기업의 경영효율은 2012년 25위에서 2016년 48위로, 혁신역량은 2011년 9위에서 2016년 33위로 하락하였다.

세계제조업경쟁력지수 역시 2016년 5위에서 2020년에는 6위로 1단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실정이다.

더욱 큰 문제는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불확실성이 이들 중소기업체들에게도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중소기업연구원이 실시한 중소 제조업체 대상 제조스마트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제조스마트 내용이나 효과에 대해 모른다고 답한 업체가 전체의 70%이며 72%의 업체는 제조스마트화 계획이 전혀 없다고 답하였는데, 그 이유가 현재와 같은 공정 체계 그리고 수작업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생산과 소비의 시공간적 경계가 붕괴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결국 아이디어와 기술력 그리고 유연성을 갖춘 중소기업 육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 등을 검토해 보면 과연 이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파도에 올라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이 실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에 대한 충분한 숙고가 필요한 것이다.


기업, 경영자원의 무한 결합이 가능한 네트워킹 활성화를 강화해야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포디즘(Fordism)은 종언을 고하고 있으며 B2B보다는 B2C로, On Demand라는 소품종 소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과 생산공정의 변화가 요구된다.

그러나 여전히 열악한 경영 환경에 놓여 있는 중소기업에게 그러한 생산환경 구축을 강제할 수는 없다.

제조의 유연성과 첨단기술을 갖추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생산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Smart Factory로의 전환만이 정답이라고 할 수도 없는 것이며 그렇게 한다고 해서 모든 기업이 생산성 향상과 고객 만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그러하기에 우리는 ‘결합’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첨단기술만이 결합의 대상이 아니라 기업 외부에 존재하는 모든 경영자원이 연결되면서 경쟁력과 규모와 속도의 경제를 이루는 네트워크형 기업 구조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다.

기업과 기업이 연계되던 이전의 협업(Collaboration)은 더욱 발전하여 협업의 연결 대상이 기업을 넘어 개인, 기술, 아이디어, 자금, 정보 등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협업의 목적은 단순히 생산성 향상이나 비용 절감을 넘어서 신제품·신사업 개발, 신산업 통로 마련의 수단이 되고 있다.

중소기업은 독자적으로 모든 기술·경영자원을 확보하려 하기보다는 공유와 결합을 통해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며 틈새시장을 개척하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15.PNG



정부, 네트워킹을 위한 Ground를 만들어야

다만, 정부는 기업의 네트워킹 촉진을 위한 정책 Frame 내에 기업들을 무작정 밀어 넣기보다는 기업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Ground를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플랫폼(Platform)을 중심으로 기업, 개인, 물류, 협업 전문가, 마케팅, 정보와 기술, 아이디어, 자본, Data 등이 모이고 결합하여 신제품·신사업 개발, 신산업의 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의 네트워킹 수행을 위한 법·제도의 구축은 당연히 정부 몫이다.

네트워킹의 기초 전제가 되는 신뢰 구조가 법·제도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도록 계약, 사업 성과관리, 운영 등의 표준안 구축 등의 법·제도적 인프라 마련에 서두를 필요가 있다.


정부, 스스로 네트워킹의 대상이 되어야

정부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기업의 네트워킹을 촉진할 것이라는 생각은 버리자.

미국은 AI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으로 판단하고 단순히 AI 분야의 연구개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술의 공유와 확산을 위한 정책 수립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첨단기술의 범용화와 확산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R&D 분야 정부·공공 기능은 외부와 결합되어야 하며 개발된 기술은 완전 개방형 플랫폼(Platform)을 통해 시장에 공급돼야 할 것이다.

예컨대, 축적되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중소기업의 수요에 맞게 가공하여 제공하는 것은 중소기업에게 유용한 정부 서비스가 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아이디어를 상품화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전문 제조 중소기업 육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 내 모든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자동화 등을 지원하기보다는 거점 지역 내 선도적 기술력을 갖춘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Smart Factory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대비하는 것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만의 몫은 아니다.

한국 중소기업의 실태 그리고 발전 방향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온 중소벤처기업부와의 네트워킹은 정책의 실체를 보다 명확하게 할 것이다.


혼돈의 미덕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는 것

제조업 중심국가인 우리나라에서, 제조업을 이끄는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에 있어 단순 지원 대상이 된다는 것은 4차 산업혁명이 중소기업에 줄 기회를 생각할 때 매우 안타깝다.

대기업발 중소기업으로의 낙수효과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논의가 부상하는 가운데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하에서 한국 중소기업의 생존 전략으로서 ‘네트워킹’은 큰 의미를 가질 것이다.

4차 산업혁명. 혹자는 기회라고 하고 혹자는 위기라고 한다. 어떤 이는 아무 일도 없을 테니 신경 끄라고 한다.

이러한 혼돈이 이해가 되는 것은 4차 산업혁명의 실체에 대해 그 누구도 명확히 설명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은 변화하고 있고, 그 혼돈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다가와 있다.

4차 산업혁명이 기회가 될지 혹은 위기가 될지는 우리 중소기업의 노력, 그리고 정부의 현실성 있는 정책 수립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참고자료

IMD, 『IMD World Competitiveness Tearbook 2016』

Council on Competitiveness and Deloitte, “2016 Global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on, and the Economy”, White House, 2016.10

OECD, Enterpreneurship at a Glance 2014 및 2015.

통계청, 기업규모별 생산지수

산업통상자원부, 2015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5년 국내기업 IT․SW 활용조사」

홍재근, 『제조기업의 생산성 고도화 지원 방안 연구 :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영세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기본연구 16-04, 중소기업연구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