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인사이트

혁신 아카데미 -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로드맵

혁신 아카데미는 혁신의 주요 이론과 개념을 소개하고 실제와 연계한 칼럼입니다.


4.PNG

▲  정태현 부교수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로드맵은 기술예측은 물론 기술전략의 수립과실행을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특히, 경영전략과 기술전략을 조응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로교통지도나 내비게이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거리, 주유소나 식당 등의 편의시설, 운행중의 리스크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처럼 기술 로드맵은 목표가 되는 시장과 제품, 기술, 법규 및 제도 등을 단계별, 시간대별로 정리한 문서이다.

1970년대 Motorola에서 개발 및 시작했다고 알려진 기술로드맵은 국내외 대기업과 공공부문에서는 이미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술로드맵의 개념과 작성 방법론을 소개하고 중소기업이 이를 활용함에 있어서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업 수준의 기술로드맵은 일반적으로 시장, 제품, 기술, R&D 프로그램, 자원이라는 다섯 가지 층위(Layer)를 갖는다.

기술로드맵 수립 작업은 각 기업이 처한 환경에 비추어 1) 이 다섯 가지 층위별로 중요 인자를 판별하는 것, 2) 이들 인자가 미래의 어느 시점에 사업화되거나 부상할지 시간 차원의 분석을 하는 것, 그리고 3) 각 층위별 인자들이 다른 층위의 인자들과 어떻게 상호 연관을 맺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에서 보면 시장의 요구수준을 나타내는 M2 인자가 장기적 목표가 되며 이를 만족하는 핵심 제품은 P2로 정의되었다.

이 제품을 성공적으로 출시하기 위해서는 핵심 기술이 필요한데 이것이 T1과 T2이다.

그림에서 T1은 제품 P2와 직접적 관련이 없지만 T3와 T4의 선행기술이기도 하다.

그리고 T1의 개발을 위해서 RD1이라는 연구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 협력사, 직원 교육 등의 자원 계획이 마지막 층위에 세부 실행계획의 일환으로 제시되고 있다. 각 층위별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시장(‘Know-why’): 로드맵의 목표가 되는 지점이다. 목표는 외부적으로는 시장이고 내부적으로는 사업 성격이 된다.

기업의 핵심 시장 세그먼트를 파악하여 시장의 변화와 사업상의 핵심 추동 요인을 도출하여 분류하고 우선순위를 책정한다.

기업의 경영전략을 검토한다.

• 제품(‘Know-what’):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이 제시된다.

기업 차원에서 보자면, 제품, 서비스, 운영 측면 요소들이 이에 해당한다.

시장 요구와 시장/경영 추동 요인에 따른 제품 요소, 기능, 속성 등을 파악하여 우선순위를 책정한다.

제품 전략을 검토하여 공백 영역을 파악한다.

• 기술(‘Know-how’): 제품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 해법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매긴다.

• R&D 프로그램

기업 차원에서 기술로드맵을 작성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우선 기술로드맵은 사업과 시장 관점의 전략을 제품과 기술에 연계시키는 역할을 한다.


5.PNG


이를 통해, R&D 관리를 체계화하고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R&D와 신제품 개발에는 리스크도 따르고 막대한 인적/물적 자원의 투입도 필요하다.

기술로드맵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연구개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자 전사 자원배분의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질적 효익에 더해 기업의 운영과 문화 차원의 효익도 있다.

잘 작성된 기술로드맵은 기업의 시장-제품-기술전략에 대한 전사 공통의 참조모델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해관계가 상이한 부서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한다.

또 다른 무형적 편익은 기업의 비전과 전략을 구체화하고 이를 직원들이 공유하는 데에서 발생한다.

가시적 목표의 제시는 자발적 동기부여를 촉발하며 직원 개인 차원의 학습을 진작하기도 한다.

실제로 이런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로드맵도 하나의 정형화된 틀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프로세스와 형태로 작성된다.

전사 차원에서 작성되기도 하고 제품이나 부서 단위에서 작성되기도 한다.

또한 활용 영역도 제품기획, 서비스 및 설비용량 계획, 전략계획, 미래예측, 지식자산계획, 공정계획 등으로 다양하다.

기업 수준의 기술로드맵은 해당 기업의 기술전략을 드러내므로 대개는 외부로 공개되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정부 차원에서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을 작성하고 있고, 중소기업청은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고 있다.

산업 단위에서는 세계 주요 5개국 반도체산업협회가 연합으로 ‘세계 반도체 기술로드맵’을 2001년부터 꾸준히 내놓고 있다.

이 밖에 다양한 부처와 기관에서 산업, 기술, 국가 수준의 기술로드맵 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다.

이 중 중소기업이 참고할 만한 모델은 중소기업청의 ‘중소·중견기업 기술 로드맵’ 03이다.

이 로드맵은 중소기업의 단기 사업화 기술개발 목표 제시와 이를 지원하는 정부 R&D 사업 투자의 효과성·효율성 제고가 목표이다.

2016년에 공개된 로드맵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20대 전략분야 233개 전략제품에 대한 분석 결과를 담고 있다.

특징은 전략제품별로 단기(3년)시장 추이와 필요기술을 예측하였다는 점이다.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작성은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에서는 우선 중소기업의 전략제품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산학연의 전문가들 10~20명으로 기술 분야별 위원회를 구성한다.

기술의 정의와 범위를 설정하고, 세부기술별로 국내외 정책동향, 산업별 이슈 및 동향, 핵심 플레이어 동향, 시장 동향 및 전망을 조사·분석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시장 대응 전략을 도출한다.

즉, 거시환경 동향으로부터 전략적 기회와 위기 요인을 도출해 내는 과정이다.

위의 과정은 주로 2차 자료 검토와 전문가들의 의견 취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두 번째로는 국내 중소기업의 수요측면 정보를 조사하는데, 관련 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와 중소기업청 R&D 지원사업에 신청한 과제로부터 수요기술을 파악한다.

위의 정보를 종합해 전략제품을 도출한다.

2단계에서는 도출한 전략제품별로 로드맵을 작성한다.

전략제품 도출과 마찬가지로 산업 환경, 시장 환경, 기술 환경 분석을 수행하고 중소기업 환경 분석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기술 환경 분석에서는 전반적인 기술동향, 주요 업체의 기술개발 동향, 국내의 기술인프라 현황, 특허 동향 분석작업을 세부적으로 수행한다.

중소기업 환경 분석 부분에서는 주요 중소기업의 제품출시 현황을 조사하며, 정부과제 신청자료를 토대로 기술수요를 도출하고, 해당 분야 기술특허의 핵심어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요소기술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전문가 위원회가 워크숍을 거쳐 검토하여 핵심 기술을 판별하게 된다.

이렇게 작성된 전략제품별 기술로드맵이 그림 2와 같은 결과로 정리된다.


6.PNG

7.PNG


기술로드맵은 전략계획이나 미래기술예측의 다양한 방법론과 결합되어 활용되기도 한다.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관련자 워크숍을 여러 번 개최하는 것이다.

외부의 시장 또는 기술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동향을 파악하고 전문가 회의를 통해 대략적인 변화 추이를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각종 산업동향 보고서와 특허나 논문 등의 자료로부터 경쟁사의 동향과 기술의 진행 방향을 파악하는 것 역시 기술로드맵 작성 과정에 필수적인 작업요소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내부의 관련 부서 담당자들을 모아 여러 번의 워크숍을 개최하는 것이다.

워크숍 모듈은 시장, 제품, 기술로 나누어 각각 진행해도 되고 이들 중 일부를 합쳐서 한꺼번에 진행해도 좋다.

워크숍에서는 시장, 제품, 기술의 미래상과 변화 방향에 대해 토의하고 이 중 자사의 사업전략과 합치하는 제품과 기술을 도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워크숍을 통해 작성된 기술로드맵은 기업 내부의 전략적 의사소통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직원 간 기술적 교류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지식 창출과 기술개발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단지 보고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각 직원의 자발적 협조를 이끌어 냄으로써 작성된 기술로드맵의 실행력을 확보하는 수단도 된다.

중소기업의 기술전략 수립을 위해 기술로드맵은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잘 만들어진 기술로드맵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기술로드맵 작성과정을 통해 기업 내부에 기술에 대한 전략과 비전이 자발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러 부서에서 파견된 내부의 핵심 인재와 외부 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01 Phaal, R., Farrukh, C. J. P. & Probert, D. R. Technology roadmapping—A planning framework for evolution and revolu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1, 5-26, doi:http://dx.doi.org/10.1016/S0040-1625(03)00072-6 (2004).

02 Phaal, R., Farrukh, C. J. P. & Probert, D. R. Strategic Roadmapping: A Workshop-based Approach for Identifying and Exploring Strategic Issues and Opportunities. Engineering Management Journal 19, 3-12, doi:10.1080/10429247.2007.11431716 (2007).

03 http://smroadmap.smtech.go.kr

04 중소기업청.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2017-2019 - 반도체(중소기업청,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