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06

06 - 제조업 생태계와 스마트 SCM의 역할

11.PNG

10.PNG

▲ 송상화 부교수 인천대학교


디지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모든 것이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새롭게 도래할 제조업 생태계에서는 모든 정보가 공유됨으로써 정보의 격차가 사라지고 불필요한 낭비가 최소화될 것이다.

기업들은 신뢰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생태계 하에서 스마트 SCM을 구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의 의사결정을 통해 불확실한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국가별 제조업 혁신 전략

2016년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모든 것이 연결되고 지능화된 사회로 바뀐다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구글, 아마존, 우버 등 기존과는 다른 기업들이 시도하는 새로운 변화의 소식이 연일 언론 지면을 장식하고 있다.

증기기관에 기반한 기계화 혁명(1차 산업혁명), 대량 생산 체계로의 전환(2차 산업혁명), 컴퓨터 기반 자동화 체계 구축(3차 산업혁명) 등을 거쳐 이제 디지털 기술과 현실을 결합한 초연결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는 독일의 Industry 4.0의 경우 2011년부터 산업계, 학계, 정부의 전문가들이 모여 ICT 융합 기반의 제조업 혁신 전략을 추진해왔으며, 이는 디지털 기반의 자동화 된 공장들의 수요 맞춤형 제품 생산에 초점을 두고 있다.

Industry 4.0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아디다스(Adidas)의 Speed Factory가 있다. 웹(Web)이나 앱(App)에서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재료를 다양한 옵션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한 맞춤형 제품이 산업용 로봇으로 구성된 스마트 공장에서 즉시 생산되어 고객에게 전달되는 생산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통해 중국, 베트남, 인도 등 저비용 생산 국가로 이전되었던 공장을 다시 유럽으로 가져올 수 있었다.

과거에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던 고객 맞춤형 제품의 생산을 디지털화와 산업용 로봇을 통해 과거보다 현격히 낮은 비용으로 생산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미국의 경우 아웃소싱을 통해 글로벌 공급 사슬을 구축해놓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 자체의 하드웨어적인 혁신보다는 빅데이터와 이에 대한 기반한 분석을 통한 소프트웨어적 혁신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GE(General Electric Company)의 경우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개념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함으로써 문제를 예측하고 자동적으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등 소프트웨어에 기반한 혁신에 노력하고 있다.

2017년 새로 취임한 트럼프 행정부는 핵심 전략으로 제조업 유치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인센티브와 규제, 페널티를 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향후 하드웨어 부분에서의 혁신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고령화 사회로 들어선 일본의 경우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산업용 로봇을 통해 산업 현장을 자동화하는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능화된 로봇들이 대부분의 제조 및 물류 관련 작업을 처리하게 될 경우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에 따라 높은 인건비와 일할 수 있는 직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현실에서 로봇 기반 생산 체계로의 전환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저비용 생산 국가들의 원가경쟁력에 대응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혁신하고 있는 독일, 미국, 일본과 달리 중국은 저부가가치 산업에서 고부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제조 2025(中国制造 2025)’ 정책과 ‘인터넷 플러스(互聯網+)’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급격한 경제 성장과 함께 인건비 역시 큰 폭으로 오르고 있어, 과거 우리가 직면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등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더 낮은 저비용 국가로부터의 원가 경쟁력 압박을 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 국가들의 산업 혁신에 동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기존의 노동 집약적 산업을 첨단 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중국제조 2025 정책을 통해 2025년까지 로봇, 정밀제어 기술 등 하드웨어 기반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항공 우주, 해양, 에너지 절약 등 10대 산업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인터넷 플러스 정책을 통해 인터넷과 IT 기술을 유통, 물류, 교통 등 주요 서비스 산업에 적극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까지 모든 것이 연결되는 산업 생태계 기반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국가별로 다양한 산업 혁신 전략들은 궁극적으로 인건비에 기반한 원가 경쟁력 경쟁 구도의 제조업 생태계를 디지털 연결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 경쟁 구도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과거에도 산업용 로봇이 현장에서 활용되고 컴퓨터를 통한 제품생산이 이루어져 왔지만, 새롭게 도래할 제조업 생태계에서는 모든 것이 연결되고 데이터가 공유됨으로써 정보의 격차가 사라지고 불필요한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2.PNG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스마트 SCM


13.PNG


스마트 SCM(Supply Chain Management))은 디지털 연결을 통해 변화하는 제조업 생태계에서 전체 공급사슬을 관리하기 위한 혁신으로, 정보의 연결과 공유를 통해 확보한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문제를 예측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하는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SCM의 등장 자체가 이미 단일 기업을 넘어 공급 사슬을 구성하는 기업 간 통합 및 정보 공유를 통해 기업 간 경쟁 구도를 공급 사슬간 경쟁으로 변화시켜 왔다는 점에서 현재의 제조업 생태계 변화는 SCM의 핵심 철학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SCM은 디지털로 모든 것이 연결되는 기술적, 전략적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의사결정을 통한 공급 사슬 전체의 효율적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접근법과 차별화된다고 볼 수 있다.

SCM 체계는 개별 기업 중심의 경영 관리 단계에서 수요예측, 재고관리, 생산계획 최적화 등 SCM 기본 역량 확보 단계, 기업 내부 기능 간 수평적 프로세스 통합 단계, 기업 간 협력 및 통합 운영 체계 구축 단계로 발전되고, 최종적으로 스마트 SCM 단계에 이르게 된다.

스마트 SCM 체계에서는 기업 간 ERP 시스템이 상호 연결되어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제조 공장에서 물류 네트워크에 이르는 전체 공급망의 센서와 기기들이 모두 디지털로 연결되어 문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예측 및 의사결정 단계가 기업 간 협력 하에 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최근 공급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공급망 가시성 확보와 리스크 관리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마트 SCM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공급망 가시성 확보는 전체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목표이며, 리스크 관리는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활동과 문제 발생 시 이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 목표다.

기존 SCM 체계는 비용 절감 및 글로벌화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공급망을 둘러싼 외부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리스크가 높아짐에 따라 불확실성에 대한 최적 대응이 가장 중요한 목표로 등장하게 되었고, 단순히 제품 생산 원가를 최소화하고 글로벌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것보다 공급망 가시성 확보를 위해 기업 내·외부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며 불확실성에 강한 SCM 체계 구축에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독일은 Industry 4.0을 통한 제조업 혁신의 핵심 목표로 수평적, 수직적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독일 ISRA 워킹그룹 보고서는 Industry 4.0 구현을 위한 5대 핵심 연구 주제를 도출했으며, 이중 핵심 연구 주제로 수평적, 수직적 통합 체계 구축을 제시하였다.

보고서에서 수직적 통합은 기업 내부 수직 계열화를 의미하며, R&D에서 Service Delivery까지 전체 공급 사슬이 하나로 통합되고 표준화된 체계로 구현됨을 의미한다.
 
수평적 통합은 기업 외부 즉, 공급망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기업 간의 협력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독일의 4차 산업혁명 전략 역시 로봇 등의 하드웨어 기술적 측면에서의 혁신뿐만 아니라 공급망을 구성하는 기업 및 기능 단위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스마트 SCM 측면의 연구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방형 생태계에 기반한 스마트 SCM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


14.PNG


사물인터넷 및 로봇 등으로 스마트 공장이 구현됨으로써 제조업 기반 인프라에서 실시간 빅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고, 기업 내부 및 기업 간 정보시스템이 통합되어 실시간 데이터 공유 및 분석, 의사결정의 통합이 가능해질 경우 스마트 SCM을 통한 전체 공급망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SCM이 국내에 효과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연결에 초점을 맞추어 폐쇄적 기업 생태계를 개방형 생태계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기업 간 협력 및 신뢰 관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스마트 SCM 확산을 위한 국가적 정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신뢰에 기반한 투명 거래 기반 구축 :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하더라도 신뢰가 전제되지 못하면 기업 간 정보 연계 및 통합 의사결정은 불가능하다.

기존에도 VMI(Vendor Managed Inventory),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Replenish-ment), QR(Quick Response) 등 다양한 기업 간 협력체계가 도입되었으나, 신뢰 구축 어려움과 폐쇄적 기업 경영 관행으로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많았다.

• 계약 체계 개선 및 상호 시너지 창출 : 기업 간 거래에 있어 명확한 계약 설계 및 거래에 따른 리스크와 이익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품 판매에 따른 수익을 완제품 기업이 모두 가져가고 중소 협력업체는 원가 절감에 내몰릴 경우 스마트 SCM 확산이 불가능하며, 이익과 리스크를 상호 공유함으로써 상호 이익이 되는 Win-win 관계정립이 가능해질 것이다.

•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 : 기업 간 거래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데이터 및 프로세스 표준화에 노력해야 한다. 기업 간 정보시스템이 상호 연결되지 못한다면 스마트 SCM 체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