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NET)인증 기술

신기술(NET)인증 - 신기술(NET)인증 기술

신기술(NET)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인증한 신기술입니다.

신기술(NET·New Excellent Technology)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운영하는 인증 제도로서 개발된 신기술의 상용화와 기술거래를 촉진하고자 도입되었다.
 
기업 및 연구기관, 대학 등에서 개발한 신기술을 조기 발굴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신기술(NET)인증’을 받은 기술 가운데 화학·생명, 정보통신, 기계·소재, 전기·전자 부문의 기술을 소개한다.



 화학·생명 부문

고강도 난연성 NBR 단열발포체 제조 기술
 

14.png

15.png


기존 기술 대비 월등한 인장강도를 갖고 있으며 열전도율, 밀도, 난연성 등이 우수한 고강도 난연성 NBR 단열발포체 제조 기술이다.
 
화학가교 발포공정 중 고온(160~200℃)에서의 발포성형 시 셀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화재발생 시 유해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난연제(표면 처리된 난연제, 나노 및 다공성 물질)를 제조할 수 있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난연제 표면처리 및 발포체 난연화 기술 확보

② 신 가교-발포 공정 및 속도 제어 기술과 인장강도 제어 기술 확보

③ 선진 기술 차폐에 대응할 수 있는 지재권 확보 및 기술 노하우 축적

④ 고성능 단열 재료의 국내 개발에 따른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재료 관련 국가 경쟁력 강화 및 수입대체 효과(약 1,000억 이상/년)

⑤ 난연제, 마스터뱃치(원재료) 및 점착(후 가공) 분야의 기술력 강화


나노이리듐산화물-고분자복합재료 전극물질을 감응소자로 하는 고체 pH센서 제조 기술
 

16.png

17.png


pH 감도가 우수한 IrO2에 기초한 신개념 고분자 복합재료 pH 감응소자 제조기술이다.

본 기술은 기존의 깨지기 쉽고 제조가 어려운 유리막 pH센서를 대체할 수 있는 나노IrO2 기반의 고분자 복합재료 고체 pH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

1~2방울의 소량 샘플로도 pH측정이 가능한 차별성 있는 신개념 pH센서라는 점이 특징이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pH센서 제조가 가능하여 제품의 다양화와 활용성 극대화

② 저온 제조공정을 통한 제조비용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 확보 및 고부가가치 창출

③ 국내·외 특허출원에 의한 독점적 생산판매 가능(미국, EU, 중국 등 개별국 출원 진입)

④ 기존 유리막 pH센서의 대체수요 유발로 세계시장 접근 용이

⑤ 국내 pH 관련 기기제조 및 System integration 업체들의 기술경쟁력 확보 원동력 제공


액체암모니아를 이용한 형태 안정 및 촉감 향상을 위한 니트 제품 가공 기술
 

18.png

19.png


셀룰로오스 니트 원단에 -33℃ 이하의 액체암모니아를 처리함으로써 원단에 형태 안정성과 부드러운 촉감, 실크와 같은 광택을 부여하는 니트 제품 고품질화 가공 기술이다.

친환경 가공법으로서 기존의 니트 제품에 대한 암모니아 가공이 불가능했던 이유인 장력문제와 변사말림 문제를 해결했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형태 안정, 강도, 광택 등의 실켓의 장점은 그대로 보유하면서 뻣뻣한 실켓의 단점은 개선하여 기존 실켓 위주의 고급의류시장 재편

② 최대 98%까지 액체암모니아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고 나머지 2%의 액체암모니아도 중화하여 NH4OH 수용액 상태로 염색공정에 재응용 가능

③ 3D, 오염유발 산업이라는 염색가공 산업의 이미지 개선

④ 기존 기술 대비 용수 소비 69.4%, 스팀 소비 61.2%, 전기 소비 25.2%, 가스 소비 100%, 조제 소비 86.7%, 폐수 처리 60.8%, 폐수 부하 91.7%의 에너지 및 비용 절감


나노알루미나가 함유된 SHEATH-CORE형 복합 기능성 PET 원사 제조 기술
 

20.png

21.png


20㎚급 무기물 알루미나가 함유된 CORE공정이 부가된 SHEATH-CORE방사를 통한 Y형 이형단면율이 최대화된 복합기능성 PET 원사 제조 기술이다.

본 기술은 최근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은나노 제품의 유해성을 극복하고 흡한속건, 보온단열, 항균소취, 자외선 차단율, 원적외선 방출 성능 등이 탁월한 신규 용융복합 방사공정이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용도별 기능성 원사 생산 기반기술 확보

② 무기물 알루미나는 흡수율이 낮고 인체 친화적 재료

③ 은나노 파우더 대비 단위질량당 표면적이 10~40배로 빠른 흡수와 건조 등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

④ 원단 가격 적용 시 50% 이상 원가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 확보

⑤ 복합기능성을 보유한 원천소재로 유럽 등 선진국으로 수출 가능

⑥ 원사 생산을 위한 포천 공장 건설로 고용창출과 수출 및 내수 매출액 증대


 정보통신 부문

사행성 전자기기 감독용 SAS와 G2S 이종 프로토콜 변환 기술
 

22.png

23.png


사행성 전자기기 감독용 국제통용 통신프로토콜인 시리얼기반 SAS와 이더넷기반인 G2S를 통합하여 사행성 여부 판독을 위한 게임데이터 실시간 전송 기술이다.

SOAP/웹소켓 통신프로토콜을 통해 복수개의 호스트와 Thread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하며, 사행성 여부 감독을 위해 전자기기의 근거리용 바이너리 데이터(SAS)를 웹기반 통신을 위한 Json 또는 XML형태(G2S)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통신 상태 감독을 200ms에서 40ms로 개선하여 감독 기술 실시간 확보

② 물리적, 논리적 환경 변경 시 해당 정보를 20ms 이내에 수집하여 감독기관에 실시간 전송

③ 18자리의 회계정보(기존 8자리)처리 기준으로 개선하여 국내 화폐단위에 최적화된 미터기 리셋 감지 및 컨버팅

④ 외산 기술 종속 탈피 및 수입대체

⑤ 사행성 전자기기의 역기능을 제어하는 국제표준기술 국산화

⑥ 사행산업 법규 수호 감독, 세수지표 감독을 위한 정보통신 국제 기술 국산화


작업효율성 제고를 위한 두 동영상 간의 합성 기술
 

24.png

25.png


SD 화질 영상(720×480) 기준 프레임 당 영상 합성 속도 48.214ms, 최대 메모리 사용량 173MB을 구현하는 영상 합성 기술이다.

초당 24프레임을 지원하는 1초 분량의 SD급 영상을 합성하는데 1.157초가 소요되어 실시간 근접이 가능하다.

동급 영상 합성 프로그램 대비 계산속도 2배, 메모리 효율성을 18.4배 개선하여 영상 합성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했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모바일 기기 기반의 신규 시장 적용 가능

② 빠른 속도와 뛰어난 메모리 효율성으로 향후 VR, AR 환경에 대응 가능

③ 이차전경 개념을 통한 연기, 물, 구름 등 비정형 물체에서 나타나는 임의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합성 기술력 확보

④ 기존 기술 대비 18.4배의 메모리 절감 효과 및 2배의 작업 시간 절감 효과

⑤ 플랫폼 구축, 디지털 PPL 산업 등 콘텐츠 및 광고 분야 등의 신규 시장 창출

⑥ 작업 비용 절감 및 장비 최소 요구사항 하향을 통한 비전문가의 산업 참여 및 시장 확대


 기계·소재 부문

스너버 연결핀을 지지점으로 하는 이동식 스너버 성능시험 기술
 

26.png

27.png


배관계에 지진이나 해일, 열팽창, 관로 내의 유체교란 등 비정상적인 하중이 가해질 때 배관계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장치로 설치된 스너버의 성능시험 기술이다.

ASME OM CODE에 명시된 가동 중 시험 항목에 대한 모든 시험이 가능하고, 이동식 스너버 성능시험 장치 작동부의 모든 구성품이 조립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보관과 운반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부피 및 무게가 최소 70% 감소

② 고용량용 이동식 Bench Tester라는 새로운 기술력 확보 가능

③ 국내·외 산업용 배관에 사용되는 스너버의 90% 이상 성능시험 가능

④ 국내 원자력 발전소 스너버 성능시험 기기 및 기술의 해외의존도 탈피

⑤ 60% 저렴한 가격으로 적용 제품 공급 가능(13ton 용량 기준)

⑥ 스너버 성능시험 공정 및 작업 시간 축소에 따른 성능시험 비용 50% 절감

⑦ 배관의 손상에 의한 기동지연에 따른 발전수익 감소 예방(12억 원/기 [500MW급 기준])


 전기·전자 부문

홀 센서 및 DSP 연산 구조 기반 다중 부하 전력측정 오차 보정 기술
 

28.png

29.png


홀 센서의 특성에 기인한 다중 부하 측정 시 간섭 및 비선형성에 의한 오차를 보정하는 기술이다.

각 상별 전류를 홀 센서로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접한 부하에서 생성된 간섭을 제거하는 간섭 오차 제거 기술과 홀 센서 자체의 비선형성으로 인한 오차를 전대역에 걸쳐 보정하는 기술을 DSP만으로 구현하여 다중 부하의 전력 및 전력 품질 측정이 가능하다.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① 홀 센서를 이용한 다중 부하 정밀 전력 측정 기술력 확보

② 홀 센서와 DSP를 이용한 상분리형 모듈형 구조 개발로 뛰어난 양산성 확보

③ 범용 홀 센서와 범용 DSP 사용(40 MIPS 내외)으로 뛰어난 가격 경쟁력 확보

④ 스마트그리드의 다중 전력 측정 장치 소형화 요구에 대한 대응 기술력 확보

⑤ 기존 CT 방식 대비 뛰어난 Material Cost 절감 효과

⑥ 데이터 센터나 FEMS(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등 다중 부하 전력 측정에 대한 시장의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