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05

특별기획 SPECIAL REPORT 05 - 벤처창업과 중간회수 시장 활성화

44.png


벤처생태계의 핵심은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에 대한 공정한 가치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투자활성화에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가 벤처의 요람이 될 수 있었던 것도 활발한 엔젤투자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의 벤처 생태계는 유독 이 투자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했는데, 이는 투자와 회수라는 기본적인 시스템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투자시스템은 무엇일까?

중간회수 시장의 활성화를 통한 투자자금의 선순환 구조에 대해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45.png


과거 경제성장을 주도했던 대기업들의 저성장 기조가 유지되면서 혁신역량과 기업가정신에 기반을 둔 고성장 벤처기업에 대한 관심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

국내 벤처기업 수는 2005년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2012월 9월 기준으로 27,654개로 성장하고 있다.

2005년에 매출액 1,000억 이상 벤처기업의 수가 68개사에서 2012년 384개사로 확대되었고, 이들 기업들에 의해서만 80조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국내 벤처기업들에 의해서 총 매출액 약 380조와 총 고용 약 140만 명이 달성되고 있음을 감안해 볼 때, 혁신에 기반한 창조경제의 발전은 결국 벤처생태계의 활성화에 달려있음을 실감케 한다.

미국에서는 매 순간 약 7백만 명의 창업희망자들이 새로운 사업을 하기 위해 뛰고 있으며, 시간당 약 1,500여 건 이상의 신규사업이 시작된다고 한다.

일 년에 최소 300만 개 이상의 새로운 기업들이 태어나고 약 65만여 개의 사업체에서 최소 1명 이상의 정직원을 채용하는 고용창출이 일어나고 있다.

미국 내 중소벤처기업을 하나의 국가로 가정하면 GDP 규모가 세계 2위를 차지한다고 한다.

미국기업들 1사당 특허수를 비교해 보면, 대기업에 비해 중소벤처기업들이 13배나 높다는 연구도 있다.

새로운 사업의 끊임없는 생성을 통해 시장경제의 생명력과 역동성이 유지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기업가정신은 자유경제체제의 근간을 유지하는 핵심적 요인이라고까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정부에서도 창업을 활성화시키고 기업가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제도적 지원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을 통해 창업환경이 예전에 비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 벤처 최고경영자(CEO)의 비중은 2000년 54%에서 2008년 12%로 42%p가 감소하였고, 한국은행에서 제시하는 기업가정신 지수는 2000년 53.2에서 2007년 18로 하락했다.

2011년 GEM(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 창업의 41.5%가 생계형(necessity) 창업으로 생계형 창업의 비중이 조사국들 중 5위를 차지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신설법인의 증가율은 8.6% 증가한 반면 청년창업은 5.8%만 증가한 것을 봐도 도전과 모험정신을 토대로 새로운 기회를 추구하는 기업가정신의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다.
 
그렇다면, 창업의 환경과 여건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정신이 쇠퇴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창업생태계를 다시 복원시켜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일까?

벤처창업과 벤처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과제들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엔젤투자 현황

벤처산업이 성장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조건은 자금의 원활한 공급과 지원이다.

벤처기업 성장동력의 원천이라 할 수 있는 자금은 주로 엔젤투자와 벤처캐피털을 통해 조달될 수 있다.

엔젤투자는 창업에서 벤처캐피털 투자를 받기 전까지의 주요 자금공급원이며 벤처캐피털은 기술개발후 초기시장개척에서 기업공개전까지의 주요 자금공급원이다.

따라서 이 두 자금의 크기에 따라서 스타트업(startup) 벤처기업과 고성장 벤처기업의 발전에 필요한 자금시장의 생태계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선진국은 엔젤캐피털과 벤처캐피털의 시장 규모가 50:50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46.png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2000년 이후 벤처붐 붕괴와 코스닥 시장침체 이후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투자금의 유일한 회수수단이라 할 수 있는 코스닥 시장이 붕괴하면서 엔젤투자의 장기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투자조합의 결성현황 역시 2000년 이후 이렇다 할 증가를 보이지 않고 있다.

투자실적의 경우 엔젤투자는 2000년 5,493억원에서 2010년 326억 원 그리고 2011년에는 296억 원으로 2000년에 비해 94.6% 감소하였다.
 

제목47.png


반면, 미국의 경우 미국 Angel Capital Association의 자료에 의하면, 2009년 투자를 받은 Early Stage 이전 단계 벤처기업의약 97%, 거래금액 기준으로 약 70%가 엔젤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할 정 도로 미국에서의 엔젤은 스타트업에게 중요한 자금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을 기준으로 보면 61,900개 창업자에 약 200억 달러(약 21조 원), 기업당 약 3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09년 엔젤투자 인구를 놓고 보면 미국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0.2 ~ 0.3% 규모로 우리나라의 0.0025%에 비하면 100배 규모에 달한다(미국의 인구는 우리나라의 약 6.2배 수준).

2009년을 기준으로 놓고 볼 때 GDP대비 엔젤투자 비중은 미국이 0.13%이며, 우리나라는 0.003%이다. 경제규모는 미국과 우리나라가 약 11배 수준이나, 엔젤투자는 39배에 달한다고 볼 수 있다.
 

48.png



중간회수시장의 활성화와 투자자금의 선순환 구조

우리나라의 경우 잠재적 비즈니스 엔젤만 1.2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0년을 기준으로 보면 현재 투자자금이 없어서 투자가 부족한 것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창업초기 기업을 위한 엔젤투자가 부진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바로 투자회수를 위한 중간회수시장이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10년 미국의 엔젤투자자 회수형태를 분석해 보면, 투자 후 회수까지 약 5 ~ 6년 정도가 소요되며, 투자건수의 66%는 중간회수시장에서 인수합병(M&A)을 통해 회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엔젤투자로 성공한 경우 평균 수익률은 연 24%~36%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다(Peters, 2011).

평균적으로 보면, 미국의 경우 엔젤투자금의 투자금 회수경로가 기업공개(IPO) 이전인 중간회수시장에서 인수합병(M&A)을 통해 약 90%가 회수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IPO를 통해 회수되는 경우는 10%에 달하며 이는 주로 벤처캐피털이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경로로 사용되고 있다.
 

49.png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유가증권이나 주식시장을 통하지 않고는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없다. 기업공개를 통한 회수는 투자의 매력이 거의 없다고 봐야한다.

왜냐하면, 창업에서 코스닥 상장까지 평균 12년이 소요되고, 상장 기업 수도 연간 10여건에 불과하며, 벤처기업 전체 수가 2만6000개 정도임을 고려할 때 기업공개를 통한 투자금 회수는 극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벤처캐피탈 회수시장의 회수유형별 비중을 보면 대부분 장외시장 매각 및 상환(’10년 56.2%)의 형태로 회수가 이루어져 벤처투자기업에 대한 공정한 가치평가를 받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렇듯 중간회수 시장이 발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엔젤투자가 어렵고, 엔젤투자가 어렵기 때문에 벤처창업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악순환이 연출되는 것이다.
 

50.png


벤처생태계의 완성은 2중 순환구조를 갖는 투자회수의 선순환 구조의 구축을 통해서 이룩될 수 있는 것이다.

코스닥은 벤처 생태계의 후반부의 순환 즉 창업 5년에서 코스닥(평균 10년)까지를 담당하고 있으므로 그 전반부의 선순환을 담당할 회수 시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중간회수시장이 있어야 창업초기 기업들을 위한 엔젤투자가 살아날 수 있다.
 
엔젤투자가 살아나야 창업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대출과 담보, 자기자금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창업풍토로는 기업가정신을 살리기 어렵다.

따라서 제 2의 벤처도약을 위한 중간회수시장 육성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중간회수시장을 육성하고 창업초기 기업들을 위한 엔젤투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엔젤투자가, 자금조달 인프라, 엔젤네트워크, 투자회수시장 등 전반에 걸친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몇가지 정책적 대안 및 과제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젤투자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엔젤투자가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엔젤투자 소득공제 시 출자지분 의무보유기간의 단축, 소득공제율 확대, 재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이연과세, 투자확대를 위한 종합과제 방식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창업초기 기업에 대한 투자지원 자체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창업초기 기업들에 필요한 자금조달 경로가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

투자지원의 확대를 위해서는 엔젤투자기금, 엔젤투자 매칭펀드, 엔젤지원형 세컨더리 펀드 등이 결성되고 확대될 필요가 있다.
 
투자자금의 조달경로가 다양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해외에서 자금조달경로로 많이 활용되는 크라우드 펀드, 개인간 대출(peer to peer loan)과 같은 제도들의 법적 검토 및 활용이 필요하다.

셋째, 엔젤투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엔젤투자자, 성공벤처기업, 창업자 등이 상호교류하는 소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소위 엔젤네트워크, 엔젤클럽, 선도 벤처엔젤등의 구축과 지정을 통해 엔젤투자간 또는 창업자와 엔젤투자자, 혹은 성공벤처기업들과의 정보교류, 멘토링 등을 위한 상호교류가 지원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시한 엔젤투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자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는 중간회수시장이 육성되어야 한다.

중간회수시장의 육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회수시장이 존재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BX-Venture와 같은 프리보드나 코넥스 같은 시장도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같이 M&A 시장의 활성화도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M&A를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경우가 90%에 이른다. 따라서 M&A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거래소를 설립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거래소를 통해 인력탈취나 기술유출을 감독하고 정보의 신뢰성을 높여 M&A 활성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과거 M&A가 독점력 강화나 수직적 계열화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었다면 오늘날에는 혁신역량(기술)과 시장역량(시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감안하면, 이를 중간회수시장의 육성대안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